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브데라 출신으로 소크라테스와 동시대에 활약한 사람이다. 그는 감각을 인식의 유일한 원천이라고 생각하고, 인간의 지식을 모두 주관적, 상대적인 것이라고 주장 ... 하고 있기 때문에 참으로 선을 알면 악을 행하지 않는다. 그러면 선이란 무엇인가? 선은 아름다운 것이다. 선은 이를 가져오고 덕은 복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선을 안다면 악을 행할 리 ... 가 없다. 즉, 악은 무지의 결과라고 하는 지행일치를 주장하고 있다. 이렇듯 그는 교육의 목적은 지덕합일에, 이행일치에 있다고 했다. 그러므로 누구보다 먼저 스스로를 알아야 할 것
: 무지)-지행 합일: 아는 것과 행하는 것 일치(양명학)실천 강조. 알기만 하면 실천한다.덕은 지식의 결과. 악덕은 무지의 산물.-지덕복 합일: 앎이 뒷받침된 후 덕을 쌓고 행복 ... 서양 윤리 사상 총정리.《이성 중시 사상》-고대 그리스. 스토아. 합리론. 관념론.A. 고대 그리스-인간 중심적1. 소크라테스 절대주의 이성주의 주지주의 객관주의-절대주의적 진리
않는다. 진리인식에 대한 부정적 태도로 회의론자 였다.소크라테스소피스트의 회의적인 태도로부터 진리를 옹호하여 논리적인 방법과 인간의 윤리적 문제즉 인간의 참된 본성이 무엇이며 인간 ... 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영혼 속에서 만들어 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산파술이라 한다▣ 지덕 합일설: 인간은 가능한 한 영혼을 선하게 만드는 행위를 이룩함으로서 행복에 도달 ... 한다 따라서 인간을 가능한 한 선하게 만드는 행위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것을 알게되면 그것을 실행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그에 있어서 지는 곧 덕이요 복인 것이다. 실천
으로 전락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공자나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을 배울 때, 그들은 성현들이 가지고 있었던 올바른 마음가짐이 아닌, '대동사회' 라든지 '지덕복 합일설' 같은 단편적인 ... 하고, 옷은 거의 100% 기성복을 사 입고, 매년마다 새로 나오는 컴퓨터로 게임부터 프로그래밍까지 해 내는 아이들에게 이러한 교육은 쇠 귀의 경 읽기나 다름 없다. 결국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