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DSTP (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윈위부 연부 조직 절골술 25. DM Foot (Diabetic Mellitus) 당뇨병성 발? 정의: 당뇨 ... 1. DA (degenerative arthritis) 퇴행성 관절염? 정의: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여러가지 성분중에서 연골과 그 주위의 뼈에 퇴행성 변화 가 나타나서 ... replacement, 전 무릎 대치 관절 성형술) :무릎 관절을 형성하는 무릎 윗 부분을 구성하는 대퇴골과 무릎 아래 부분을 구성하는 경골 및 무릎 위를 덮고 있는 뼈인 슬개골 부위의 손상
가골형성이 안되는 점 등이 다른 골절에 비하여 높은 불유합 빈도의 원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치료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없고 젊은 연령층이라면 절골술, 근육유경 골이식술 또는 혈관 ... 에 의해 경부 뒤쪽 피질골이 비구에 부딪쳐 경부가 부러지는 경우, 또 순환적 부하에 의한 골절, 즉 일종의 피로 골절 등이 있다. 젊은 사람에게서는 주로 교통사고 등 심한 외상에 의해 ... 유경 골이식술 등으로 골유합을 시도할 수 있겠으나, 골두가 괴사되어 있거나 노년층 환자의 경우에는 관절치환성형술을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③ 감염 : 대략 1~14%의 빈도를 보이
) 고관절형성부전증의 관절 보존술( 비구절골술 )환자의 나이가 비교적 젊고 관절염도 미약한 경우에는 비구부에 절골술을 시행하여 바깥으로 덮개를 만들어주는 수술을 합니다. 또는 관절 ... 은 환자가 인공관절수술을 받으면 많은 환자에서 약 10년뒤에 재수술을 받아야합니다(1) 무혈성괴사의 관절 보존술( 대퇴전자간 회전절골술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환자에게 시술 ... 에서는 고관절주위에 발생하는 질환중 가장 흔한 병으로 전체고관절질환의7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에서 매년 4000~5000명의 새로운 무혈성 괴사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중
graft)도 시행되고 있다.다른 한 부류는 골두의 함몰이 있을 때 사용하는 방법인데, 함몰 범위가 넓지 않은 경우에 대퇴골 근위부에서 절골술을 시행하고 함몰되지 않은 부위가 체중부하 ... 를 하도록 회전시켜 준다. 이 방법은 함몰이 없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골두의 체중부하 면을 바꾸는 방법으로는 절골술의 위치에 따라 대퇴골 근위부(proximal femoral ... ), 전자간(interrochanteric), 경전자(transtrochanteric) 절골술이 있다. 이중 골두를 가장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법은 Sugioka의 경전
치환술을 받는 경우가 가장많고 엉덩이 관절에도 자주 있으며 손가락 관절을 수술하는 경우도 있다.④ 골절엉덩이 관절 주위의 골절에서 매우 흔하게 만나는 상황으로 주로 노년 환자 ... 에서건강다. 어깨 관절 주위의 심한 분쇄골절이 발생되어서 부러진 뼈 조각들을 전부 맞추지 못하는 경우에도 인공 관절치환술을 하게 된다.⑤ 외상성 관절염무릎 관절에서 인공 관절 치환술 ... 에 무혈성괴사가발생하였음. 1년 전부터 통증이 있었고 보행시 다리를 절었음. 이런경우를 대퇴전자간회전 절골술로 치료한 예③ 40세 나자로 양쪽 무릎관절에 퇴행성 관절염이 심하
이 있는 경우 대퇴골 근위부에서 절골술을 시행하고 함몰되지 않은대퇴골두 면이 체중 부하를 하도록 회전시켜준다.(ex. Sugioka방법)(3) 인공관절 치환 성형술: 골두의 함몰 ... 이 심하거나 이미 퇴행성 변화가 생긴 경우 시행비구 쪽 관절 연골 손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 골두치환 성형술을 시행하고이미 비구쪽에 심각한 이차적 병변이 생긴 경우에는 고관절 전 치환 ... 을 가진 같은 연령층에서의 인공관절 치환술과 비교했을때 오히려 결과가 좋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인공 관절 치환술이 아닌 대퇴 골두를 보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