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朱子)의 시문(詩文)을 비롯하여 당 ·송 8대가(唐宋八大家)의 문(文)과 《5경발초(五經拔抄)》 및 두보(杜甫)의 《육유시(陸游詩)》 등을 신간(新刊)하였다.연암은「역학대도전 ... 들의연행(燕行)에 의해 수집한 거적을 대대적으로 정리 간행 반포하여 이제는 수입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에 이른 것을 말해준다. 또한 당판(唐板)의 서책이 조선 책보다 나은 점 ... 문학연구회 역주, 소명출판, 2001, p.11제후의 경우, 「검남시초(鈐南詩 )의 뒤에 적어본다」는 육유(陸遊)의 『검남시초』를 다룬 것이다. 정조가 『육율분운(陸律分韻)』·『두
(湛軒燕記)》,《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의산문답(山問答)》,《해동시선(海東詩選)》,《대동풍요(大東風謠)》등이 있다. 그의 생애의 가장 큰 사건이었던 연행을 그는 한문본 《담헌연기 ... 에서 《국조보감(國朝寶鑑)》 《대전통편(大典通編)》 《무예도보(武藝圖譜)》 등 여러 서적의 편찬 교감에 참여하였으며, 많은 시편(詩篇)도 남겼다. 서울 지도인 를 보고 읊은 백운시(百韻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