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②\{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고등학교1학년'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는 1998년도에 나온 책인데 TV를 통해 소개되면서 4년 만에 빛을 보게 되었다. 물론 나도 TV덕분 ... 와 조용히 그 동네를 거닌 적이 있었는데 그것은 기실 그 친구를 깊이 음미해보기 위해서다. 택리지에서 산세와 물세로 그 고장 사람을 평하는 것은 어쩌면 과학이다.
택리지를 읽고택리지는 한자로 ‘擇里志’이다. 말 그대로 가히 살만한 곳을 택한다는 뜻이다. 그렇지만 이 살만한 곳이란 사대부들의 가거지를 말하는 것으로써 그 당시에 사대부를 중시 ... 하는 식민적 질서를 엿볼 수 있다. 택리지는 사민총론, 팔도총론, 복거총론, 총론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져있다.우선 사민총론은 사, 농, 공, 상이 어떻게 나누어졌는지와 사대부
학과: 국어 교육과학번:2005190126이름: 박 선 영PART 1.나에게 택리지라는 것은 교과서에나 나오는 ‘전설의 책’ 정도로만 여겨졌었다. 한국지리 시간에 사람이 살기 좋 ... 은 곳을 찾아 쓴 풍수지리책이라고 간단히 들었었다. 하지만 실제로 읽어보니, “택리지”는 단순한 풍수지리책이 아닌 한편의 인문지리적인 종합백과였다.그는 살기 좋은 곳을 ‘지리가 좋 ... 았다는 점이다. 그는 사대부임에도 불구하고 전라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전국을 실제로 답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증적인 태도에 입각해 “택리지”를 저술했다. 물론 유배생활과 방랑
택리지(擇里志), 이중환(李重換) 지음, 이익성(李翼成)옮김, 을류문화사, 1997년, 121쪽부터 95쪽까지이중환이 쓴 택리지의 구성은 사민총론(四民總論), 팔도총론(八道總論 ... 를 많이 말하였다. 나는 이번 과제물 선택을 이중환의 택리지를 택하였고, 그중에서도 복거총론 부분인 지리, 생리, 인심, 산수에 대하여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자 한다. 卜居總論(복거총론
다르겠지만, 택리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조선후기에는 어떤 곳을 사람이 살기 좋은 곳으로 보았는지 그리고 우리나라의 지리를 어떻게 인식, 파악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택리지 ... 가 어떠한 배경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쓰여졌는지 그리고 그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택리지는 영조 27년(1751)에 이중환이 저술한 인문지리서로, 조선 후기의 지리학의 발달 ... 을 대표하는 실학적 지리서이다.택리지는 팔역지(八域誌), 팔역가거지(八域可居地)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전해진다.본론1.책의 저자: 이중환이 책의 저자인 이중환은 비교적 좋은 환경
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귀양에서 풀려난 이후 30여년 간 전국을 방랑하면서 자연 환경과 인간 생활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책으로 엮은 것이 바로 택리지이다. 이 저서 ... 는 기존의 군현별로 씌여진 백과사전식의 저술에서 벗어나 우리 나라를 인문지리적 방법을 통해 총체적으로 다룬 새로운 지리서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택리지에는 한국 전역에 걸친 지형
정3품 당상관 품계인 통정대부를 제수받았지만 다시 정계에 진출할 수는 없었다.이중환의 저서로 [택리지(擇里志)]만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데 [택리지]는 전라도와 평안도를 뺀 전국 ... . [택리지]의 구성1) 택리지에 대한 연구: 일제시대에 시작되었고, 종합적으로 파악해보려는 시도는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다2)현재 남아있는 그의 저술: [택리지] (현재 문집 ... ] [동국총화록] [박종지] [형가요람] 등으로 각양각색의 이름으로 전해오면서 널리 읽혀졌다.3) 택리지의 구성서문, 발문- 자신이 직접 발문을 쓰기도 하고 이익이나 남인계통의 사람
,서문,총론 그리고 팔역지발문의 네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해제는 번역자인 노도양氏가 쓴 것같은데(구체적인 이름은 생략되어있다.) 이 글만 보더라도 택리지의 전반적인 내용 ... 을 모두 알수 있을 정도로 정리가 잘 되어 있고 택리지의 의의를 잘 정리해 놓고 있었다.서문은 사군자가 뜻을 가지고 살 땅을 고를 때의 방법을 나열한 후 사는 동네를 가린다 라는 말 ... ,해산,산수승지,사군산수,강거,계거의 여덟가지로 아주 세세히 나누어져 있는데 백두대간의 산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또,땅의 쓰임에 따라 피세지,피병지,복지,길지,덕지등으로 아주 자세히 구분하여 놓아 택리지 전체로 놓고 보았을때도 가장 중요한 부분중에 하나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