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빼고 정거(停擧)시켜 용서하는 바 없이하라.하여 엄명하고 일례로 유생 이옥(李鈺)의 응제구어(應製句語)가 순전히 소설(小說)로만 되었으므로 마땅히 그를 처벌해 본보기로 삼 ... 한 것 같다. 김려와 교분이 두터웠던 이 시기 노론계 인사들이 문집에서 이옥이 전혀 언급되지 않았으며, 성균관 상재생(上齋生)으로 당시 남인·북인·소론이 기숙했던 동재(東齋 ... )에 머물렀던 점) 「운득(雲得)을 잘못 부르다」라는 글에 의하면 이옥은 이 시기 동재에 있었음이 확인된다.으로 미루어 볼 때 노론이 아닌 것만은 확실한 듯 하다. 그러나 남인·북인·소론
초반에 걸쳐 살았던 이옥(李鈺)같은 선배들에 의하여 선보이고 있었다. 불우하게 일생을 마쳤던 이옥은 전통문화에 대한 종래의 모화적 의식에서 탈피하여 우리 것을 발굴하고 그에 대해 ... 긍지를 갖는 자존의식을 보여주었다. 당대의 실학인들이 북학에 대한 지나친 관심에 비해, 이옥은 정신적인 데서 중국과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으며, 당대 우리문화의 재발견을 시도
아있는 거벽의 대가 류광억{) 최범서,『 야사로 보는 조선의 역사』, 가람기획, 2003.돈을 받고 과문을 대신 지어주었던 거벽중에 지금까지 이름이 남아있는 사람이 있다. 이옥(李 ... 鈺, 1641~1698)이 지은 의 주인공 류광억은 실제 과문을 팔았던 사람이다. 어느날 서울에서 파견된 시관, 곧 경시관이 영남에 내려와서 감사에게 영남 제일의 인재가 누구인지 ... 검사할 수는 없는 것이다. 앞에서 예를 들었던 정조24년 초시 답안지와 인일제{) 성균관 유생들과 지방 유생들은 절일제(節李製)라는 시험을 치렀는데 공식적인 시험만 1년에 최소 네
의식의 성장 등이 반영된 시기다. 특히 燕岩小說과 文無子 李鈺(이옥)의 23편의 傳體의 한문소설과 판소리계 소설 등에서 이러한 사상이 크게 부각되어 양반주도의 문학에서 서민주도 ... 신소설에 밀착된 소설들이 나옴에 따라 한문소설도 金紹行(김소행)의 와 徐有英(서유영)의 , 鄭琦和(정기화)의 , 柳致球(유치구)의 , 李 淳(이이순)의 등이 나왔는데, 이들 작품 ... 의 小說武臣의 亂부터 조선조 창건 이전까지 나온 소설이 여기에 속하는데, 이 시대는 說話와 小說이 竝存하는 시대라 할 수 있다. 18대 毅宗(의종) 24년(1170)에 鄭仲夫, 李
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던 작품이다.『소대성전』의 작자 이옥(李鈺)은『설인귀전』의 주요 모티프인 정동(征東)의 개념을 역으로 도입하여 작품에 설정하고 여기에 병자호란이 ... 에서 태어나 15살에 성균관에 들어간 촉망받던 젊은이였다. 천성이 명랑하고 밝아 친구 사귀기를 좋아했다. 후일 정조의 사돈이 된 김조순, 이옥 등과 교유했고, 화려한 패관소품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