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urse)에는 제약받지 않는 이상적인 담화상황(ideal speech situation)이 있음을 전제한다. 그는 이러한 이상적 상황에 필연적으로 전제되는 규범적 조건으로 이해 ... 된 합의를 통해 이상적인 담화상황을 성취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담론에서 참여자의 입장이 평등하고 교호적인 상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상적 담화상황은 왜곡 ... 과정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책결정 상황에서는 결정규칙이 있어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결정규칙은 언제나 결정참여자와 참여배제자를 규정하기 때문에 의사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