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예술의 실상을 정리하여 소개한다.임금을 지척에서 모신 화가김홍도는 영조 21년, 즉 1745년에 나서 정조 재위 이십사 년간을 거쳐 순조 6년 1806년경까지 약 육십이 년간 ... 고 허망한 노년그 동안 김홍도는 1791년말에 현감이 된 이후로 새삼스레 사인의식(士人意識)을 갖게 되었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리고 단원은 곧 정조에게 버림을 받아 현감직에서 쫓겨 ... 김홍도의 삶과 예술김홍도는 우리 옛 화가 가운데 국민 일반에게 가장 친숙한 작가이다. 그러나 그가 어떤 사람이고 무엇을 어떻게 그렸으며 그 작품이 갖는 특징은 무엇인지, 또 작품
해보고, 그들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조형적인분석을 꾀하여 보기로 하겠다.본 문1. 단원 김홍도[ 金弘道 ](1745-1806)본관 김해(金海). 자 사능(士能). 호 단원(檀園 ... ?~1813 이후)본관 고령(高靈). 자 입부(笠父). 호 혜원(蕙園). 김홍도(金弘道) ·김득신(金得臣)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로 지칭된다. 그는 풍속화뿐 아니라 남종화풍(南宗 ... 들어가는 글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은 조선 후기 풍속화를 대표하는 양대 거장으로 알려져있다.모두 현실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풍속화로 유명하며 독특한 화풍을 구축,후대의 화가
던 서 풍속화가 단원(檀圓) 김홍도(金弘道: 1745-1806?),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등에 의해 풍미하게 되었으며, 다른 ... : 1545-1611), 김명국(金明國: 1600-1662) 등에 의해 크게 유행되었고, 이정근(李正根: 1531-?), 이흥효(李興孝), 이징(李澄: 1581-1645 이후) 등
를 남긴 겸재 정선(1676∼1759), 단원 김홍도(1745∼1806?), 추사 김정희(1786∼1856), 오원 장승업(1843∼1897)과 같은 대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시되어 있 ... 다. 현재 남아있는 우리나라의 서화는 조선시대 이후의 것이 많고, 여기 전시된 작품도 조선후기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조선시대의 서화는 우리나라 예술사에 커다란 자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