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官學派) 주자학자들이 정립한 것이었고, 정조대의 주자철학은 사림파(士林派) 주자학자들이 정립한 것이었다. 두 부류의 주자철학 중 완전하게 '한국화'한 것은 정조대의 사림파 주자학 ... 던 시대로는 전기의 세종대왕 시대와 후기의 정조대왕 시대를 꼽는다. 두 시기 모두 국정 운영의 가장 근간(根幹)이 된 철학사상은 주자철학(周子哲學)이다. 세종 대의 주자철학은 관학파 ... 자들이다.조선 전기의 주자학 역시 한국의 지성들에 의해 소화되고 응용된 한국철학이기는 하나, 중기 이후에 사림파 선비들이 크게 일으킨 주자학은 가령 제품에 비유하자면 외국산 부품
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를 거쳐 검열이 되었으나, 가톨릭교인이라 하여 같은 남인인 공서파(功西派)의 탄핵을 받고 해미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持平)으로 등용 ... 에 담긴 관학적(官學的) 인상(印象)과 '심'(心) 자에서 풍기는 그 관념성 역시 그냥 지나쳐버릴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다산은 평생의 학문연구를 통해 유학의 의미를 재발견 ... 문도(文度). 광주출생. 1776년(정조 즉위)남인 시파가 등용될 때 호조좌랑에 임명된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가환 및 이승훈을 통해 이익의 유고를 얻어보고 그 학문
, 특히 주자학(朱子學)은 도쿠가와가 하야시 라잔[林羅山]를 정치고문으로 삼은 이후, 관학(官學)으로서 권력과 결탁되어 그 특권적 지위는 오랫 동안 확고부동하였다. 그러나 나카에 도주 ... 素行] 등의 훈고파(訓뭍派)도 초기부터 상당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에도시대의 사회윤리는 유교의 가족도덕인 효(孝)와, 무사의 주종관계를 강조한 충(忠)의 두 가지 ... 로 표현된다. 그러나 전란이 없는 태평시대가 계속되자 그 무사도(武士道)도 공소화(空疏化)하고 그 대신 등장한 것이 겐로쿠시대에 개화한 시민문화였다. 중기에 들어와서는 유학도 여러 파
문학(上方文學)의 시대, 근세 후기를 에도 문학의 시대라고 부른다.1. 고쿠가쿠(國學)운동과 와카도쿠가와 바쿠후는 주자학을 관학(官學)으로 삼았다. 그러나 17세기 후반에 이르 ... )을 중심으로 하는 단린파(談林派)의 하이카이이다. 데이몬이 형식주의적인데 비해 소인의 시풍은 보다 자유롭고 해학적이다. 이 무렵 전국적인 산업발전을 바탕으로 하는 신흥 조닌이 진출 ... 이다. 주자학파 중에서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무로 규소(室鳩巢) 등은 특색 있는 수필을 남겼다. 특히 하쿠세키는 역사·지리·언어 등 넓은 분야
의 흐름에 따라 절파(浙派), 오파(吳派), 송강파(松江派) 등 명왕조의 회화적 흐름과 정통파, 양주파(揚州派) 등 청나라의 회화적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구성 ... 로 하는 원파(院派)에 속하여 그 정통화풍을 계승하면서도 이당(李唐)·마원·하규와 문인화가인 심주(沈周)의 그림양식을 배합하여 원파의 영역을 벗어나 일가를 이루었다. 재야 화가 속 ... 어 놓명왕조에 이어 주자학(朱子學)을 정통적인 관학(官學)으로 삼았으며, 스스로도 여러 학문을 익히고 한문화(漢文化)에 친숙해졌으나, 명왕조 말 이래의 학자 고염무(顧炎武)· 황종희
)의 소인(素因)이 되었다. 그리하여 공리공론만 거듭되는 순리학파(純理學派)를 대신하여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문을 주장하는 실학파(實學派)가 대두하였다. 그 대표적 인물 ... 는 태학(太學)이 있었는데, 경당의 설치시기는 관학(官學)인 태학이 설립된 372년(소수림왕 2) 이후, 특히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인인데 이 점을 고려, 경당의 성격을 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