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세워 문화유적지의 원위치를 보존하여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동래읍성을 다 둘러보고 내려와서 바로 박물관으로 들어갔다. 제 1전시실에서는 복천동고분군이 형성되는 시기를 전후 ... 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로 보는데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것은 무덤의 구조, 크기, 금속제 생활도구 등의 차이로 나누게 된다. 삼한시대 전기의 문화에서는 창원 다호리 31, 1호무덤 ... , 광루 신창동 생활유적의 모습, 그 당시의 일반적인 토기였던 와질토기, 주머니모양 항아리, 목 항아리, 다리 달린 목 항아리 등이 전시되어 있었고, 철기에서는 무기보다는 농·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