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β]를 채택한 것이다.{방식 위치진음(唇音)치경음(齒莖音)경구개(硬口蓋)치경음연구개음(軟口蓋音)구개중음(口蓋重音)성문음(聲門音)파열음(破裂音)ㅂ pㄷ tㄱ k(가)(?)동격음(同 ... 의 음운 실태를 그대로 반영하였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도 있다.1 자음체계< 훈민정음에 규정된 자음체계 >{기본자가획자아 음(牙 音)ㄱㅋ(가)설 음(舌 音)ㄴㄷ ㅌ순 음(脣 音)ㅁㅂ ... ㅍ치 음(齒 音)ㅅㅈ ㅊ후 음(喉 音)O가 ㅎ반설음(半舌音)ㄹ반치음(半齒音)가각자병서: ㄲ ㄸ ㅃ ㅉ ㅆ 가합용병서: 가 ㆄ* 당시의 실제 문헌에 사용된 자음글자각자병서: ㆀ
된다.5 연구개음(軟口蓋音)은 후설면을 연구개에 대고 내는 음으로 ㄱ, ㄲ, ㅋ ㅇ 등이그것이다.6 성문음(聲門音)은 두 성대 사이에서 나오는 음으로 ㅎ 등이 이 음에 속한다.이 ... [] 등이다.2 평순모음(平脣毋音): 입술을 평평하게 한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 ㅏ·ㅓ·ㅐ·ㅣ·ㅡ 등이다{개大구↓도小(전설모음)앞 홀소리(후설모음)뒤홀소리안둥근평순둥근원순안 ... 와 같은 분류의 가장 큰 결함은 조음위치가 하나의 점(點)으로 표시된다는 것이다.2) 조음방식에 의한 분류1 파열음(破裂音)은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입안에서 완전 폐쇄되었다가 갑자기
을 표준 발음으로 인정된다.나) 이와는 달리, 다음과 같은 연구개음화(軟口蓋音化)와 양순음화(兩脣音化)는 수의적인 변화에 속한다. ㉤연구개음화는 연구개음이 아닌 소리가 연구개음 ... .라) 이 밖에, 동하 현상에 속하는 것으로 구개음화(口蓋音化)가 있다. 구개음화는 혀끝 파열음 /ㄷ,ㅌ/이 뒤에 오는 형태소의 소리가 '이'인 경우 이에 동화되어 각각 /ㅈ,ㅊ
, Palatal consonant구개음이라고도 하며 전설면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되며 /y/에 해당된다.8) 연구개음 軟口蓋音, soft palatal consonant후설면이 연 ... 가다.6) 구개치경음 口蓋齒莖音, Palato-alveolar설단과 후치경 도는 경구개 앞쪽 사이에서 조음되며, /?, ?, ?, ?/이 여기에 해당된다.7) 경구개음 硬口蓋音 ... 구개에 접촉할 때까지 위로 올라가서 생성되는 음이다. /k, g, ŋ/가 여기에 해당되며 /w/는 양순과 연구개의 두 곳에서 조음된다.9) 성문음 聲門音, glottal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