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1415년에 명의 제3대 성조때 출간, 4년 후 세종 원년에 전래된 책임이었다. (강신항 교수 견해)훈민정음 해례의 음성이론이 소옹(邵雍)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및 여기 ... 들에는 [훈민정음] 어제 서문, [훈민정음] 정인 지 후서(後書), 강희맹의 [보간재집(保間齋集)] 권 11 부록 행장(行狀), 최만리의 반대 상소에 대한 세종의 답변 내용이 있다
經世書≫·≪동사보편 東史補編≫·≪서연비람 書筵備覽≫ 등 서적을 간행하였고,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김육(金堉)·김집(金集) 등 우수한 학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성리학 ... 의 역법(曆法)인 시헌력(時憲曆)을 송인룡(宋仁龍)·김상범(金尙範) 등이 청나라에서 수입하여, 그 뒤 1653년(효종 4)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학문에도 힘써 ≪황극경세서 皇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