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한글 專用으로 表記1963年敎育課程 改正국민학교 600字,중학교400字고등학교 300字1969年敎育課程 改正敎科書 한글 專用1971年敎育課程 부분 改正漢文을 필수교과로 지정(中 ... 年漢文敎育用基礎漢字 교체 檢討79字 교체하여 1,800字 案16字 제외, 216字 추가하여 2,000字 案1,800字2,000字〈表 10〉 解放 이후의 國語 敎科書의 漢字 表記 ... 오늘날까지 國語 敎科書에서의 漢字 表記 형태를 整理한 것이다.〈表 9〉 韓國의 解放 이후 중요한 文字政策年度政策名內容字種1948年한글 專用에 관한 法律 第6號 公布公用文書는 한글
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단초가 되는 것이 바로 당시 편찬된 한문교과서이다. 따라서 남궁원(2007)의 「改化期 敎科書의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을 참고하여 개화기 한문교과서 ... 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자 한 노력을 남궁원(2006)의 「改化期 漢文 및 漢文 敎育에 대한 認識 一考」를 통해 살펴보았다. 한문의 위상변화에 대항하여 한문교육에 있어서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