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단초가 되는 것이 바로 당시 편찬된 한문교과서이다. 따라서 남궁원(2007)의 「改化期 敎科書의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을 참고하여 개화기 한문교과서 ... 할 방향문법적 요소 - 허사를 중심으로Ⅳ. 결론Ⅰ. 서론개화기 한문 및 한문 교과의 위상은 급격한 하락세를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한문의 위상이 추락함에 따라 역설적으로 한문교육 ... 하는, 소위 교수-학습 방식을 마련한 것은 다른 교과서와 구분되는 점이다.초등작문법은 우리말 어순의 문장체로 쓰였으며 모든 단어는 한자를 사용하였으나 조사 부분은 한글로 써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