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서 당시의 고려청자를 묘사한 글이 나온다. 〈도준陶樽, 도기의 푸른 빛깔을 고려인은 비색翡色이라고 하는데, 근년의 만듦새는 솜씨가 좋고 빛깔도 더욱 좋아졌 ... 와 유사하다.〉또 남종의 태평노인은「수중금 袖中錦」에서 천하제일의 것들을 언급하는 가운데 고려비색高麗秘色 이라 하여 이 시기의 청자를 언급하고 있다.실로 순청자시대는 고려청자의 최성기
이 천신·용신·산신 및 하천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등 토속적 신앙의 면모를 보여준다.송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왔다간 서긍(徐兢)은 자신이 관찰한 바를 기록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 ... 圖經)≫에서 "팔관회는 고구려의 동맹제(東盟祭)에서 유래한 것"이라 밝혔을 정도이다.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조선시대로 오면서 급변하고 만다. 초기부터 굿을 단속하는 법을 만들어 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