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진수를 알아보는 것이며 일종의 고통이기도 하다.2. 에릭프롬 : 고독, 공허감 극복 수단 (목적론적 입장)3. 사랑은 상대의 생활에의 관심이며 표현·미 표현욕구에의 자발적 반응 ... 적으로 다른 동물과 큰 차이가 없는 동물적 존재라고 하지만 인간은 자신의 생리적 욕구를 억제하여 즉각적 만족을 연기시킬 줄 알며 일정한 생활양식을 타인과 공유하며 조화로운 집단생활 ... 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 기본적 존재인 성과 사랑 그리고 성과 사랑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2. 인간의 성(性)▶성의 개념과 이분적 사고우리 사회에서는 성에 관한 공개적인
백성의 희망적 QOL은 기와집에 쌀밥임은 알려진 사실이다. 한국에도 많은 독자가 있는 에리히프롬은 현대사회에 있어 QOL은 양(양=To Have)으로 부터 질(질=To Be ... )로의 전환이라 했다. 한가위처럼 먹고 입고 사는것은 소유욕구를 충족시키는 양적인 삶이요,이인로나 김정국처럼 가난해도 삶의 뜻과 멋을 찾고 즐기는 그런 인생살이가 존재욕구를 충족
*사랑의 기술 - 에리히프롬을 읽고이 책을 선정한 이유는 예전에 남자친구한테 추천 받았던 책이었다. 그동안 짬이 나지 않아서 읽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읽게 되었다. 아마도 ... 적으로는시키는 힘인 것이다. 사랑은 고립감과 분리감을 극복하게 하면서도 그로 하여금 그 자신이게 하며 그 본래 모습을 보유하게 한다. 사랑에 있어서는 두 존재가 하나로 되면서 동시에 둘 ... , 존경, 지식은 상호의존적. 성숙한 정신을 소유한 자에게서 볼 수 있는 일종의 증후군(症候群).양성 사이의 특수한 생물학적 합일에의 욕망 : 창조론이나 남녀 한 몸의 신화에 표현
를 통해서 현대사회비판을 수행했다. 하나는 에리히프롬과 같이 사회내부의 인간들의 심리를 통해서 비판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아도르노와 벤야민처럼 문화예술을 통해서 현대사회 ... 다.2. 본론2.1 인정형태의 3가지 유형인정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무시에 대해서 알아보아야 한다. 무시(無視)는 한자어로 상대방을 보지도 않는다는 의미이다. 즉, 상대방의 존재 ... 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인정은 무시의 반대이며,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현존성에서 나온다. 현존성과 함께 인정은 상대방과 나의 동등함을 인정하는 데에서 나온다.호네트는 더
들을 사귄다. 에릭프롬(Erich Fromm)은 현대사회가 더 많은 독립심과 자기신뢰감을 증진시킨다고 주장함. 그러나 인간은 더 독립적이고 자기 신뢰적이며 비판적이 되지만 더 고립되고. ... 적 과정을 통해 발전해 나간다고 믿었다. 즉 적자생존의 의미이다.세상을 그대로 놓아 두면 결구에는 사회의 질병이 치유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는 이 세상에 '존재 ... 했던 것'은 모두 그곳에 '존재해야만 했던 것'과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마르크스에 의하여 극심한 반대를 받았다. 마르크스는 사회구조는 경제적 기초에 근거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