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객술관계로 표현하던 언어습관이 줄어들면서 사동접미사 -고 가 점차 줄어들고, 한편 -게하 형의 사동문과 -게되 형 피동문이 쓰임.]등이 있다.중고국어 언어 자료중 가장 중요 ... 적인 관련을 맺으면서 변천하기 때문이다.1)國語學史는 國語學에 대한 歷史로 우리말 연구사, 국어 연구사, 한국어학사, 국어학연구사라고도 한다.2) 다시 말하면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 ... 도 가장 풍부하게 갖추고 있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맞춤법 체계가 거의 확립되고 우리나라 漢字音의 정리 통일과 중국 漢字音을 정리하였으며 언어의 성조체계를 표기하던 때이기도 하다4
체계로 분화되었을 때 그 체계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영어와 독일어도 더 큰 게르만조어(祖語)에서 분지하였으므로 방언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한국어에서 분지 ... 를 사 버림)ㄱ ㄴ 비 고구법(句法) 귀법구절(句節) 귀절대구(對句) 대귀 -법(對句法)문구(文句) 문귀다만, 다음 단어는 귀 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 ... ] 앉고[안꼬] 얹다[언따] 삼고[삼ː꼬] 더듬지[더듬찌] 닮고[담ː꼬] 젊지[점ː찌]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 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안기다 감기다 굶기다 옮기다제
palgan(足), 에벤키어 halgan(足)·국어 '(눈)보라', 중세몽고어 boro'an(눈보라), 야쿠트어 burxan(눈보라)이 외에도 많은 예들이 더 있으며 이로써 이제 한국어 ... 사형어미 '-ㄴ', '-ㄹ'접속어미 '-고', '-며', '-다가'종결어미 '-다', '-고'경어법의 선어말어미주체경어법 '-시-'객체경어법 '-싶-'▶신라어와 중세국어신라어 ... 어미로도 쓰였다. 이 들은 현대국어에서는 관형사형의 어미로만 쓰이기 때문에 관형사형이 명사형의 용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사역 및 피동의 접미사접미사 '-잎-'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