錫亨)이 주장한 하사설이 있는데 칠지도의 명문가운데 공공후왕(供供侯王)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후왕(候王)은 중국 사설에 나타나는 ‘□□候, □□王’등의 백제 관직명으로서 당시 왜왕 ... 뿐만 아니라 45년 패망이후에도 식민 사관을 주장하며 자신들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였다. 근대화론과 사회진화론을 바탕으로 하는 식민사관은 군국주의 시대의 약육강식의 세계질서를 합리 ... 라고 할 수 있다. 그 식민사관의 내용 중의 하나가 임나일본부설인데 간단하게 요약하면 4세기 후반부터 6세기까지 일본이 한반도 남단을 점유, 식민지를 건설하고 임나일본부라는 기구를 두
, 칠지도 명문의 侯王을 제후인 왕으로 해석하여 동진에서 백제를 통해 왜왕에게 하사했다는 동진 하사설도 있고, 후왕이 중국 사서에서 볼 수 있는 백제의 관직 이름이고 供이 ‘바치 ... 다’라는 뜻 이외에 ‘주다’는 의미도 있기에 당시 백제왕의 신하로 간주되던 왜왕에게 준 백제 하사설이 가장 유력하다.※기타: 200여 년 간 왜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면 한국측 기록 ... 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일본인들은 우리나라의 역사가 태고부터 외세의 간섭과 영향을 받아 타율적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하면서 임나일본부설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 설
의내리는 문언을 취하고 있다고 하면서 백제왕이 후왕이라 본 왜왕에게 하사한 칼이라고 주장하였다.동진하사설은 율원붕신이 대표적인데, 그 또한 칠지도의 명문이 상위자가 하위자에게 주 ... 주장하면서, 앞뒷면의 관계에 대해서는 설명을 무마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학계에는 대체적으로 백제왕이 왜왕에게 전달함에 있어 그 특별성과 칠지도 자체의 우수성을 나타내 보이 ... 하였고 야마토 정부의 무기고 역할도 함께했다. 거기서 칠지도를 발견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일본에서 한창 근대화를 추진하던 1874년, 스가 마사토모라는 사람이 이소노카미
으로 백제는 전달자 역할을 했다는 동진하사설, 그리고 타당성이 큰 백제하사설로 앞면의 후왕과 지, 뒷면의 성음과 전시후세에서 백제가 우위에 있다고 짐작하는 것이다.남송시대의 송서는 한일 ... 임나일본부설과 고대사 왜곡일본은 우리나라 섬인 독도 를 죽도 라 하여 일본의 땅이라 하였고,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그것을 세계방방곡곡 유포시켰다. 최근들어 또다시 왜곡 ... 알고,일제의 만행을 비판하며,시정을 요구해야 할 것이다.첫 번째로 고조선과 관련하여 왜곡된 주장을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고대사는 단군조선에서출발하여 기자조선,위만조선을 거쳐갔
/ 송서 / 칠지도임나일본부설에 관한 여러 학설들출선기관설 / 가야의 왜설 / 기마민족설 / 분국설백제군사령부설 / 외교사절설 / 광개토왕비문조작설후기나의 느낌참고자료서론교수님께서 수업 ... 시간에 수업에 관련된 흥미있는 이야기를 자주 자주 해 주셨다. 처음엔 단군 신화가 적힌 삼국 유사를 가져와서 한자 하나하나 읽히고 그 뜻을 해석해보라고 하셔서 당황도 적잖게 되 ... 를 정당화하기 위한 논리인지, 아니면 당연히 인정해야 할 과거사의 하나인지, 한국인으로서 자신의 역사를 바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이 고대사 수업의 과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