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습을 바꾸었을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 것이 바로 천태종의 일심삼관(一心三觀)이다. 이는 인도의 공사상이 어떻게 중국화 되었는지 알 수 있는 좋은 예이다.‘공 ... 적 기초이다.천태종의 일심삼관중국문화의 특징의 하나는 실제주의에 있다. 인도의 불교가 이러한 실제주의가 진을 치고 있는 중국에 들어갔을 때 인도의 불교는 사라지고 중국식으로 그 ... ‘공’에 대한 집착도 부정하과 ‘가’에 대한 집착도 부정한다는 의미에서 ‘중도(中道)’의 중(中)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일심삼관은 ‘공’ 속에 가와 중이 있다는 이론이다.천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