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많은 조어를 보이고 있고, 특히 ‘-스럽다, -롭다’를 자유 교체하는 쌍형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준음운론적 이형태’라는 개념으로 이 접미사를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즉 ... 어간 + ? : 수고?-, 겨르?--?>-되 : 졍셩되고, 그릇되고(漢淸文鑑 8.49)-?>-롭 : 해롭디, 효도로움(東國新績三綱)-스럽(18세기 출현) : 원슈스러온, 어룬스러온
이 ’노푸-‘, ’지푸-‘로 활용되지만 파생명사형은 ’높이, 짚이‘로 실현되므로 쌍형어간을 가진 어휘이다.⑷ 부정법방언 문법에서도 한국어의 일반적 문법 체계와 마찬가지로 부정법 전반 ... 일시: 2003. 12. 12.동남 방언의 문법과 소설 ?토지?1. 동남 방언의 문법1) 음운 체계⑴ 음소 체계동남 방언의 모음 체계 가운데 ‘에’와 ‘애’ 그리고 ‘으’와 ‘어 ... ’ 지역에서만 대립을 보인다. 이와 역으로 ‘으’와 ‘어’의 대립은 경남 지역에서는 대립을 보이는 지역이 없으나 경북 북부 지역인 ‘울진, 봉화, 영풍, 상주, 의성, 금릉’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