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활발하게 전사되었던 전국지도·도별지도와 국가와 관아가 중심이 되어 제작했던 상세한 군현지도를 결합하여 군현지도 수준의 상세한 내용을 겸비한 일목요연한 대축척전국지도를 만든 ... 式) 형태로 만들었다. 이 점은 에 앞서 1834년(순조 34년)에 김정호가 완성했던 전국지도인 와 가장 다른 점이기도 하다.분첩절첩식 지도는 책자 형태의 지도에 비해 간략 ... 하고, 각각의 장점을 취하여 전국지도들을 만들었다. 김정호가 만든 지도들의 뛰어난 점은 조선 후기에 발달했던 대축척지도의 두 계열, 즉 18세기 중엽 정상기(鄭尙驥)의 이후 민간
1. 시대적 배경과 접촉 인물{【 古山子 金正浩 】{{【 古山子 金正浩 】고산자 김정호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가 남긴 업적{【 古山子 金正浩 】에 비해 너무 부정확하게 알려져 있 ... 했을 것으로 보았다.많은 정보가 수록되는 대축척지도는 소축척의 세계지도와 달리 실제 답사 없이는 정확한 지도의 제작이 불가능하다. 더군다나 하나의 체계 하에서 지도를 제작하려면 현지 ... 답사는 필수적이다. 최장조는 이상태 박사가 전국 답사설과 백두산 등정설을 부인하면서 제시한 여러 이유들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한 바 있다. 예를 들면, 고산자는 환갑이 넘게 생존
하며 그중에서 땅은 만물의 형성 기반이며 만물의 활동의 근거지로서 중시되었다. 국가와 국민을 통치하기 위해서도 토지는 경제적으로나 정치?군사적으로 기초적인 물적 토대이었던 것이다. 이 ... 연결되어 있었으며, 사람들의 행위와 제도가 우주의 근본 원리를 찾으려는 노력으로서 우주를 닮으려는 소우주의 구현이었음을 보여 준다.는 우리나라 고지도의 대명사이며, 우리나라 지도 ... 고지도, 나아가 우리나라 지리학의 대명사로 인정받고 있다. 현전하는 중 성신여대 박물관 소장본은 보물 제 850호로 지정되어 있다. 김정호와 는 1934년 일제가 교과서에 수록
.1861년 (철종12년)에 김정호 선생이 1834년에 제작한 '청구도'의 내용을 보충하여 만든 지도이다. 축척은 약 1:162,000으로 전국을 22단으로 나누었 으며 도로 선상 ... 자신이 1834년 제작한 청구도의 후속편으로서 내용을 보충하고 일반인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첩의 양식을 본떠 22첩으로 이루어진 분첩절첩 식으로 만든 것이다.이 ... 노력이 두드러진 것으로 보 인다. 또한 산계와 수계를 명확히 표시 하였다. 대동여지도의 축척은 약 16만분 의로 알려 지고 있다. 또 북방지역의 지도에 있어서는 백두산을 대단히 강조
는데, 모두 96면을 갖는다. 제 1단의 좌측면에는 지도표가 있는데 14항에 걸쳐 22종의 기호가 나타나 있다.2) 우리 나라 최대의 대축척전국지도대동여지도는 보통 일부 제한된 지역 ... 전국을 지도화 하였다. 〈동국지도〉는 지도의 여백에 제척(梯尺)을 종으로 표시하여 정확한 비율의 축적비(약 40만분의 1)를 이룬 대축척 지도의 효시가 되었다. 이 후 제작된 《청구 ... 으의 지도를 상하로 연결하여 전국지도가 되도록 하였다. 1층의 지도는 동서로 80리 간격으로 구분하여 1절로 하고 1절을 병풍처럼 접고 펼 수 있는 분첩절첩식 지도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