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特殊軍- 1) 別武班2) 三別抄2. 高麗時代 軍事制度의 性格(1) 中央軍의 人的 構成에 대한 諸說1) 부병제설-부병제설에 대하여-부병제설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2) 군반씨족제설 ... -군반씨족제설에 대하여-군반씨족제설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3) 경?외군 혼성제설(2) 高麗 軍事制度의 特徵Ⅲ. 結 論Ⅰ. 序 論국가가 성립된 이후 지배 세력은 피지배 세력을 통치 ... 이 다음에 소개될 軍班氏族制說이다.2) 軍班氏族諸說-군반씨족제설에 대하여軍班氏族制說의 요지는 2軍6衛 군사들 모두가 세습적?전문적으로 군역에 종사하는 특정한 씨족, 즉 「軍班氏族」출신
구성과 사회적 성격 을 둘러싸고 농민층으로 보는 부병제설과 군반씨족의 특수한 계층으로 보는 군반제론이 일찍부터 논의되어 상당한 성과를 축적하였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양측의 논리 ... 의 傳統社會와 兵制」『韓國學報』 6).그는 후삼국이 통일되면서 병권이 중앙집권화하는 과정에서 군인이 군반씨족으로 고정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기백이 제시한 군반제론은 이후 80년대 ... 各定佃戶 (『高麗史』권79, 食貨志 2 農桑).이처럼 그는 경군의 구성원을 군반씨족으로서 군역을 담당하는 대가로 토지를 지급받아 수조권을 행사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
에는 틀림없그리고 그들의 씨족이 ??, 곧 軍籍에 등재되고 있었음은 그들이 세습적 군인들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軍班氏族制說에서는, 군반은 세습적전업적 군인들로서 그 직역의 성격상 개경 ... 을까. 府兵制說에서는 군반을 中央軍 소속의 특정한 農民軍으로 파악하였기 때문에 전시과 제도상의 軍人田을 그들의 자경면조지로 해석했었다. 그러나 군반제설에서는 군반을 넓은 범위의 관인
{고려전기 군사제도Ⅰ 머리말Ⅱ 본 문1. 중앙군2.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관한 제설1) 부병제설2) 군반씨족제설3) 경·외군혼성제설3. 주현군과 주진군1) 주현군2) 주진군4 ... 시각에서 바라본 것이 다음에 소개될 軍班氏族制說이다.2) 군반씨족제설부병제설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는 군반씨족제설은 경군 소속의 군인을 하나의 獨立된 身分으로서 어떤 社會的 구실 ... 한 것이다.이러한 군반씨족제설을 주장한 이기백씨는 부병제설에 대한 심한 비판을 가하고 있는데《高麗史》의 찬자의 부병제설에 대해서는《高麗史》의 찬자 스스로의 판단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