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본 건 축 가( Kenzo Tange, Fumihiko Maki, Ando Tadao, Toyo Ito )일본 근대건축의 변천과정1.서구화의 시대(1860~1910)막부말 ... 의 활동 마끼 후미히꼬, 기꾸다께 기요노리, 오오다까 마사또와 간접적으로 관련되었던 이소자끼 아라따, 후원자 단게겐조 등이 현 일본 건축계의 거장으로 부상한 것은 암시하는 바가 많 ... 포스트 모던 논쟁을 와따나베 도요가쯔와 벌였던 일본 건축계의 대두 단게는 포스트 모던의 냄새를 물씬 풍기는 도쿄도 신청사의 현상설계(1986)에 당선해 그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것
공문제로 등록 포기.- 1953년 동경예대 입학이 결정됨.실제적인 건축공간을 구상하는 것을 요사무라 준조에게 영향 받음.건축과 공간의 철학적 정립은 단게겐조에게 영향을 받음. ... (단게겐조의 영향)- 단게겐조의 건축론공간의 한정 = 무한정성이라는 원칙으로 기능주의자를 비판, '근대적 자아'를 가지고 새로운 건축언어를 실험한 최초의 일본 건축가, 김수근은 그 ... 김수근의 1860년대가 단게적인 사고라면 70년 이후는 요시무라의 사고가 지배적- 1959년 국회의사당 현상설계에 당선.3. 1960-1965□ 국내외 건축적 상황세계의 건축계는 소위
음.건축과 공간의 철학적 정립은 단게겐조에게 영향을 받음.- 1958년 동경대 대학원에 진학. 다께야마 연구소. 일본인과 결혼.- 김수근의 받은 두가지 영향첫째 : 실제적인 건축 ... 공간 구성 (요사무라 준조)둘째 : 건축공간에 대한 지적 논쟁 (단게겐조의 영향)- 단게겐조의 건축론공간의 한정 = 무한정성이라는 원칙으로 기능주의자를 비판, '근대적 자아 ... 건축 배움아틀리에를 통해 작가의 개성이 스며들어간 건물지향김수근의 1860년대가 단게적인 사고라면 70년 이후는 요시무라의 사고가 지배적- 1959년 국회의사당 현상설계에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