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래로 나뉘었으니, 一은 그 학설을 받아 自家便宜를 꾀하려는 私營派요, 一은 그 학설을 배워 中華嫡傳을 이땅에 드리우자는 尊華派이다. 그러므로 평생을 몰두하여 心性을 강론하되 實心 ... 과는 얼러볼 생각이 적었고 一世를 揮動하게 道義를 표방하되 자신밖에는 보이는 무엇이 없었다. 그런즉 世降俗衰함을 따라 그 學은 虛學뿐이요, 그 行은 假行뿐이니 實心으로 보아 그 ... 니 本然으로 固有한 을 이름이요 致는 이 固有한 을 완성하는 것이라 하였다.]格物은 心中의 志意를 바루는 것이며 致知는 고유한 良知를 완성하는것이라 하였다.[그러나 이 앎을 완전히
茶山의 經學과 經世學의 관계윤리교육과 20010002김덕원六經四書에 대한 연구로 修己를 삼고 一表二書의 작성으로 천하 국가를 위한다 라고 한 茶山 정약용선생은 이 한마디 말 ... 화된 주자학이 心性論의 觀念化와 사대관계의 의리화로 체제를 유지하는데 공헌하긴했지만 북벌론자에 이르러 주자학적 리고리즘(rigorism)은 그 정점에 도달했습니다 즉, 학문에만 속박 ... 입니다.窮經以致用 이라 하여, 경전을 궁구하여 그것으로 用 을 이룩한다는 것은 유학의 본래의 지향입니다. 用 은 곧 經世를 말하는 것입니다. 修齊治平 이 유학의 본령으로 알려져온 것
은 양명학좌파라고 하였으며, 그 가운데에는 인간의 존재성 인식을 위하여 불교와 노장사상을 섭취하여 유불선(儒佛仙) 삼교일치(三敎一致)의 입장을 취한 사람, 사회적 실천을 존중해서 ... 하였는데 이것을 신주(新註)라고 한다.〔사상적 특징〕주자학의 사상적 특징은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기심성학(理氣心性學)을 수립했다는 사실이다(성리학이라고도 한다).이(理)와 기(氣 ... 였 활발히 전개시켰다.한편, 내면적 도덕원리인 인성론(人性論)은 송익필(宋翼弼)·김장생(金長生) 등에 의하여 유교의 행동규범인 예설(禮說)로 발전하였다.이퇴계와 이율곡에 앞선 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