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腹脹悶,雙手交叉,低頭觀臍,以兩手貼?口,將身往下,不論數推拂,能寬?脹止腹疼,兼後運功自效。흉복부가 창민하면 양손을 교차하여 머리를 숙이고 배꼽을 보며 양쪽 손을 흉부입구에 붙이고 몸 ... ,以艮背佐之,無不效矣。운공하면 먼저 귀원에 결정되니 뒤에 알선을 행하여 가슴전까지 밀어 흩어지게 하여 좌우로 구분하여 열고 만약 아직 통창하지 않으면 간배로 보좌하면 효과가 없
, 방향이라는 3가지를 기본으로하여 형국(形局), 심혈(尋穴), 좌향(坐向)을 관산(觀山)의 요건으로 삼아서 길지를 택하는 것이다. 훌륭한 보국(保局)을 찾는 데는 간룡(看龍 ... (天干) 12자(字) 및 건(乾), 곤(坤), 간(艮), 손(巽) 등 4유(維)와 십간(十干)에서 무(戊), 기(己)를 뺀 8간(干)을 합한 24방(方)으로 나누어 방위에 따른 길흉
이 밝게 볼 수 있다.觀其陽盛之極 自夏至一陰初? 由五 六 七 八 歷巽 坎 艮 坤 天道從西右行 則陽氣日降 萬物日消者 此皆順數也.관기양성지극 자하지일음초구 유오 육 칠 팔 역손 감 간 ... 면 쇠퇴하게 된다.由此觀之 乃知士而舍逆 則有屈而無伸;유차관지 내지사이사역 즉유굴이무신.이로써 보면 선비가 역을 버리면 비굴함만 있고 소신은 없게 된다.農而舍逆 則有種而無穫;농이사역 즉
으로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우러러 위의 하늘을 보고(仰以觀於天文) 먼저 하늘을 상징해 작대기 하나를 긋고, 구부려 아래의 땅을 살펴(俯以察於地理) 땅을 상징하는 작대기 ... (??), 우레 진震(??), 공손할 손巽(??), 빠질 감 또는 북방 감坎(??), 그칠 간 또는 동방 간艮(??), 따 곤坤(??)이다. 건괘·태괘·이괘·진괘·손괘·감괘·간괘·곤괘는 그
는 간방(艮方)에서 맺는다. 그런데 그 간방이 바로 한국이다. ‘간(艮)’은 갓난아기요, 결실을 의미한다. 어머니가 아기를 낳는 것은 아기의 입장에서 보면 시작(始)이요, 어머니 ... 세계도 없다. 중국 고전 중의 하나인 대학(大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心不在焉 視而不觀 廳而不聞 食而不知其味 (마음이 거기 있지 아니하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 ... 에는 그러한 현상만이 존재할 뿐이다’라고 한다. 그러므로 ‘心不在焉 視而不觀 廳而不聞 食而不知其味’은 양자론의 동양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이 이미 2천5백년 전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