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일연이 살던 당시까지 전해져 내려오던 과거의 기록들을 인용하여 만든 책. 불교와 관련된 설화가 많음.ㅂ. 역사적 의의 :일연이 각고 끝에 수집한 사료의 전거를 소박한 표현으로 명시 ... 을 희사해서 사찰을 삼고 양존사(兩尊寺, 경북 경주시 분황사 동쪽에 있던 사찰)라 불렀다.삼국유사에는 이 이야기 말고도, '손순이 아이를 묻다''향득 사지가 다리살을 베어 아버지 ... 을 위해살을 메추라기의 몸뚱이만큼 베어 저울에 달아 매에게 먹였다고 했다. 또한 목숨을 끊어서라도 짐승을 살리는 것이 불심이라 했다. 나의 뜻은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인데, 어찌 죄없
다.※ 아동과 관련한 우리의 문화ㆍ 敎 ; 가르칠교ㆍ 귀한 자식 매 한 대 더 때리고, 미운 자식 떡 한 개 더 주랬다.ㆍ 에밀레종 전설ㆍ 손순매아 설화위의 예들은 아동과 관련 ... 적으로 용납되고 오히려 장려되는 입장이었다. 특히 귀한 자식일수록 사람을 만들려면 매를 아껴서는 안 된 다는 사고가 일반인들을 깊이 지배하고 있어서 “아동학대”에 관한 개념이나 문제
한 사]에 효선편이 실리게 된 배경을 살펴보려 할 때 일연의 효성을 간과할 수 없게 된다.효선편에 수록된 효행 사례에는 향득할고공친이나 손순매아, 그리고 빈녀양모등의 경우처럼 불교 ... 적인 성격이 약한 것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향득과 손순이 그들의 옛집을 희사하여 절로 삼았기에 불교와 어느정도 연결된다. 효선편에서도 진정과 대성의 효가 강조된 편이고, 이 ... 다. 사복이 어머니를 등에 업고 연화장세계로 갔다거나 진정의 어머니가 하늘에 태어났다는 설화는 이와 같은 불교의 효선사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일연이 [삼국유사]에 효선편을 설정한 것
되었는데, 이 부분은 역사서를 읽는다는 것 보다는 소설류를 읽는 것 같은 느낌을 주어서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효선편의 손순매아의 돌 종 이야기는 우리나라의 효 사상을 전하는 여러 ... 편의 설화를 실었고, 편에는 밀교의 이적과 이승들의 전기 3편을, 편에는 부처와의 영적 감응을 이룬 일반 신도들의 영검이나 영이 등을 다룬 10편의 설화를 각각 실었으며, 편 ... 적 윤리인 효를 강조한 것이다. 효선편의 마지막 이야기인 손순의 이야기는 늙은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는 자식을 매장하기로 하여 손순 내외가 산에 가서 땅을 팠더니 신비한 석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