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체언
문장에서 주로 주어가 되는 자리에 오며 때로는 목적어나 보어가 되는 자리에도 오는 부류의 단어를 일컫는 말이다. 명사, 대명사, 수사를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형태의 변화가 없고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한글 맞춤법에 사용된 체언이란 말은 대체로 명사를 지칭하고 있다.
(1)명사: 사용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 보통 명사, 자립성 유무에 따라 자립 명사, 의존 명사, 감정 표현 유무에 따라 유정명사, 무정명사, 구체성 유무에 따라 구체명사, 추상명사로 나뉜다.
(2)대명사: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1인칭: 나, 저, 우리, 저희, 소인, 짐, 2인칭: 너, 자네, 그대, 당신, 너희, 여러분, 3인칭: 그, 이분, 그분, 저분, 이이, 그이, 저이, 未知稱:누구, 不定稱: 아무, 再歸稱: 저, 저희, 자기, 당신)
(3)수사: 양수사(하나, 둘, 셋, 넷, 일, 이, 삼, 사, 한둘, 두셋, 서넛, 여럿, 몇 등), 서수사(첫째, 둘째, 셋째, 한두째, 두어째, 두세째, 두서너째, 서너째, 댓째, 여남은째, 몇째, 제일, 제이, 제삼 등) ※수사와 수 관형사 구별하기 ※읽기: 유월, 시월, 4시 35분/23시 30분.
1.2. 조사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하는 의존적 형태소이다.
(1)격조사: 주격(이/가, 께서, 에서), 서술격(이다), 목적격(을/를), 보격(이/가), 관형격(의), 부사격(에, 에게, 한테, 께, 더러, 보고, 에서, 에게서, 한테서, 로, 과, 처럼, 만큼, 보다, 와, 로, 라고), 호격(야/아)
(2)접속 조사: 와, 하고, (이)며, 에다, 랑 등
(3)보조사: 만, 는, 도, 까지, 마저, 조차, 부터, 요, 고 등
(4)조사의 상호결합: 에서가, 에도, 만을, 만은, 에서이다
(5)조사가 체언 뒤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품사 뒤에도 놓인다.
이 유리를 만져-만 보아라(동사 뒤). 예쁘게-도 생겼구나(형용사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