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한계와 해결방안
- 최초 등록일
- 2021.05.11
- 최종 저작일
- 2020.09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글 맞춤법의 한계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 – 제1항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의 한계
2. 한글 맞춤법의 수정 방안
본문내용
한글 맞춤법의 제1항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이다. 소리나는대로 적는 것은 표음주의적 표기법이고 어법에 맞도록 적는 것은 표의주의적 표기법인데, 이들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제1항의 원칙이다.
그런데 ‘나무’와 ‘달리다’라는 단어는 각각 [나무]와 [달리다]로 소리를 낼 수 있는 반면에, ‘밝다’와 ‘밝고’는 각각 [박따]와 [발꼬]로 소리 난다. ‘밝-’이 환경에 따라 [박], [발]로 소리나는 것이다. ‘밝-’의 의미를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형태소의 모양을 밝혀 적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래서 ‘밝-’이라는 어간의 형태를 고정하여 ‘밝다’, ‘밝고’로 적는다.
참고 자료
정희창, 우리말글, 『한글 맞춤법의 비판적 검토와 개정 방향』, 우리말글학회, 2015, 29-4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