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 민두기, 『일본의 역사』, (지식산업사, 1998).
· 마리우스 B. 잰슨, 김우영․강인황․허영주․이정 역, 『현대일본을 찾아서』제 1권, (서울, 이산, 2006).
· 박석순, 『세계 각국사 시리즈 -일본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005).
· 오쿠보 히로코, 이언숙 역 ,『에도의 패스트푸드』, (서울, 청어람, 2004).
· 연민수, 『일본역사』, (보고사, 2008).
· 유상종, 『한일 관계사를 통한 일본을 바로알자』(학문사, 2002).
· 홍하상, 『오사카 상인들』, (효형출판, 2004).
· 협원웅일 편, 강신규 역, 『거상들의 시대』(한스미디어, 2008).
· 조미직홍 외 편, 이계황 외 역, 『새로 쓴 일본사』, (창비, 2003).
· 궁본우랑 편, 정진성 역, 『일본경영사』,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1).
· 피터 두우스 편, 김용덕 역, 『일본근대사』(지식산업사, 1983).
· James L. McClain, ed., Osaka, the merchant`s capital of early modern Japan,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 Nakane Chie ․ Oishi Shinzaburo. ed., Totman. Conrad D 역, Tokugawa Japan, (Tokyo, University of Tōkyō Press, 1990).
· Totman. Conrad D , Early modern Japa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 논문
· 구태훈, 「17세기 후기의 정인사회와 유운 - 정원서학의 작품을 소재로 하여 -」,『일본학보』52, (한국일본학회, 2002).
· 구태훈, 「에도시대의 신분질서 사상」『일본학보』69, (한국일본학회, 2006).
· 김광옥, 「일본 ‘근세’ 도시의 성립과 전개」『역사와 도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김영철, 「유녀와 기생의 이상과 허실」『일본어문학』제40집, (일본어문학회, 2008).
· 김용식, 「에도(강호) 막부의 통화 정책」『일본문화연구』제12집, (동아시아일본학회, 2004).
· 김후련, 「성(성)에서 속(속)으로 변모한 일본의 성문화」『세계의 성문화』,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 박옥련, 「에도시대 정인 (정인) 남자복식에 관한 고찰」『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11 No.2 , 한국생활과학지, 2004
· 박경수,「강호시대 상인의 이주와 영주지배」『일본역사연구』6, (일본사학회, 1997)
· 박경수, 「국산전매정책과 상인중간 - 천명기(1780년대) 선태번을 중심으로 -」『일본역사연구』12, (일본사학회, 2000)
· 박경수, 「일본 근세 상인자본의 연구 - 선대번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역사연구』3, (일본사학회, 1996)
· 박진한, 「근세중후기 상방지역의 검약촌정에 관한 연구」『동양사학연구』89, (서울, 동양사학회, 2004).
· 박진한, 「향보·관정개혁기 강호막부의 검약정책」『동방학지』131,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5)
· 박진한, 「일본 근세 도시사 연구의 전개와 과제」『동방학지』139, (서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 박진한, 「일본 근세의 도시사회와 도시지배」『동양사학연구』102, (서울, 동양사학회, 2008).
· 이덕훈, 「강호시대의 상인발달과 상인정신에 관한 연구」『한일경상논집』9, (한일경상학회, 1993).
· 최인향, 「『역자론어』를 통해 본 원록가무기의 관객우선주의」『일본어문학』제31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06).
· 황소연, 「오사카의 출판문화전개와 사이카쿠(서학) - 1686년을 중심으로 -」『일본어문학』제9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