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사탕 분석을 통한 영화와 역사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승*
최초 등록일
2009.01.23
최종 저작일
2006.06
1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소개글

영화사, 역사영화 수업에 유용할 리포트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영화분석
1. 누가 : 이창동
2. 언제 & 어디서 : 2000년 1월 1일 0시, 한국사회
3. 무엇을
4. 어떻게 & 왜 - Text적 측면

Ⅲ. 결론
1. 영화는 5ㆍ18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2. 영화가 망각하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3. 누구를 위한 영화인가?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현대에는 새로운 미디어의 발달로 역사가의 지평이 학문적, 기술적으로 단련된 기존의 전문 역사가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방면으로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영화는 소설의 단선적인 내러티브를 초월하여 새로운 역사서술의 지평을 열어 주었고, 역사 영화는 이제 역사서술의 중요한 형태가 되었다
과거의 사실은 필연적으로 역사가에 의해서 취사선택된다. 랑케의 실증주의적 역사관이 한계를 드러내고, E.H.카를 거쳐 포스트모던 역사학에 이르면서 이러한 사실은 이제 놀라운 것이 아니다. 이렇게 되면서 ‘기억’의 문제가 중요해지게 되었다. 어떤 것을 기억하고, 어떤 것을 기억하지 않는가에 따라 서술된 역사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역사영화를 분석함에 있어서도 ‘기억’의 문제는 중요한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이 발표에서는 한국영화사에서 큰 족적을 남기고 있는 이창동 감독의 2000년작 <박하사탕>이라는 영화를 통해, 이 영화가 광주학살이라는 사건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지, 또 망각하는 것은 무엇인지, 누구를 위한 영화인지 알아보면서, 이 영화가 기억하는 방식에 어떤 정치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영화분석

영화의 내용(text)과 그 영화가 가지는 사회적 맥락(context)은, 역사영화를 분석함에 있어 필수적인 두 개의 줄기이다. 이 두 개의 줄기와 6하 원칙의 구성을 접목시키면서, 텍스트와 컨텍스트 중 어떤 것이 주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열띤 논의가 있었다. 토론결과 ‘영화의 전기 쓰기’라는 이 발표의 개념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컨텍스트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 방법을 취함으로써 텍스트의 기표에서부터 그로인해 파생되는 사회적 기의까지를 큰 중복 없이 구성할 수 있을 거라는 이유에서이다.

참고 자료

박하사탕 공식 홈페이지, http://www.peppermintcandy.co.kr.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허문영, 「이창동을 만나다」, 씨네21, 2000. 1. 4.
이성섭, 「“이창동, 한국의 앙드레 말로"<르피가로>」, 연합뉴스, 2004.11. 3.
정희정, 「리얼리즘 작가 감독 이창동」, 문화일보, 2004.11. 3.
김명인, 「<박하사탕>으로부터 배워야 한다」 , 월간 <말> 2000.3월호, 통권 165호
이효인, 「순수-민족-누이`를 열망하는 서로 다른 고백 또는 콤플렉스 <꽃잎>과 <박하사탕>」, 사회비평 26집 (2000년 겨울)
강준만, 『시사인물사전 4』, 인물과사상사, 2000.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2000.

자료후기(1)

*승*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이창동의 작품세계에 관한 고찰 리포트 9페이지
    박하사탕분석 구로공단의 노동자이자 야학 동료들의 소풍이다. ... 「박하사탕」을 텍스트 분석으로 놓은 것은 「초록물고기」와 「오아시스」작품 ... 순임의 박하사탕으로 두 사람은 서로 감정이 통한다.
  • 한글파일 [레포트] 영화의 탄생 배경을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4페이지
    박하사탕, 1999), 플래쉬백(과거의 일 회상 시 사용)과 플래쉬포워드( ... 역사적 측면의 영화탄생 배경은 ‘어떤 역사가 기억 될 수 있는가?’ ... 그 자체, 일반적으로는 필름과 촬영기에 의해 다상을 분석적으로 포착하여
  • 한글파일 한국 영화에서 여성의 이미지 51페이지
    특히 박하사탕. 그런 성om ... 인정을 받고 어느 정도 대중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던 작품 중에서 파이란과 박하사탕 ... 이들 작품이 역사대한 성찰의식을 가졌던 작품이거든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초대이벤트 - 뮤지컬 모짜르트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박하사탕 분석을 통한 영화와 역사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