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적
· 가네다 히데하루, 도요타 최강경영(最强經營), 일송 미디어, 2001.
· 김태진, 혼다 우리는 꿈을 믿는다, YBM Si-sa, 2006.
· 김태진조두섭, 일본의 10년 불황을 이겨낸 힘 토요타, 위즈덤하우스 ,2004.
· 김영래, 일본형 기업경영, 개신, 2003.
· 미조우에 유키노부 , “혼다이즘”, 파루출판, 2001.
· 아오이타쿠야, 혼다기켄코쿄(本田技硏工業).꿈의 실현으로,도전의 50년, 네코 퍼블리싱,1998.
· 와카마츠 요시히토, 토요타 벤치마킹, 동양문고, 2003.
· 이명박, 이명박의 흔들리지 않는 약속, 랜덤하우스, 2007.
· 이재교김혜준, 거꾸로 가는 민주노총, 시대정신사, 2007.
· 정일구, 도요타처럼 생산하고 관리하고 경영하라, 시대의창, 2004.
· 제프리 라이커, The Toyota Way, 가산출판사, 2004.
· 조형제, 한국적 생산방식은 가능한가? Hyundaism의 가능성 모색, 한울아카데미, 2005
· 한익수, 우리는 우리를 넘어섰다, 고즈윈, 2004.
· 단행본
· 김기원, 한국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을 둘러싼 쟁점, 산업노동연구 제8권 제1호, 2002.
· 대우 자동차 노동조합, 노동조합전략방향 프로젝트 보고서, 전국금속연맹, 2002
· 이병훈, 한국 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과 노사관계, 노동교육원, 2001.
· 이병훈, 한국 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과 노사관계, 노동교육원, 2001
· 전명숙윤문희김삼수Roland Zullo, 복수노조환경하의 노사관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6
· 조성재, 한국 자동차산업 노사관계의 현황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3
· Camber Clark, 기아자동차 노사관계, 기아경제연구소, 2007.
· 신문자료
· 장래성, 국민일보.“현대車이어 기아車도 ‘파업막기’ 노조에 발목 경쟁력 후진”, 2008. 03. 25
· 김동욱, ‘산별교섭비용의 비교’. 한국경제, 2008.10.13
· 김태진, ‘이공계가 이끌어온 일본 제조업신화’ 중앙일보, 2007.07.04
· 변성수, ‘노조 전임, 일 안 해도 60시간 수당’ 중앙일보, 2008.09.30
· 선우정, 최강 노동자가 만든 TOYOTA [상] ‘노조,일본경제까지걱정’, 조선일보, 2005.11.27
· 선우정, 최강 노동자가 만든 TOYOTA [하]. `근로자의 머리` 통해 경영 합리화 실천’, 조선일보, 2005.11.29
· 선한승, 한국노동교육에 있어서의 시사점, 서울신문, 2003.03.10.
· 성호제. 닛산의 회생, 매일경제. 2001.06.21
· 신승균, “현대車2이어 기아車도 ‘파업막기’노조에 발목 경쟁력 후진”.국민일보, 2008.03. 25
· 양희수, "10년 전 현대차에 인수된 기아차의 현 주소",중앙SUNDAY, 2008.8.30
· 이동진, “기아차ㆍGM대우…노사 이견 커 협상 쉽지 않을 듯”, 매일경제, 2008. 06. 27
· 이상렬, ‘과거에서 배우자- 실패연구. 닛산의 추락’, 조선일보, 2007. 02. 05
· 임우선, `新노사문화 현장을 가다`, 동아일보, 2007.01.29
· 홈페이지
· 현대자동차 홈페이지 http://www.hyundai-motor.com/index.html ‘08.10.13
· 기아자동차 http://www.kia.co.kr 2008. 09. 30
· 기아자동차 노동조합 http://www.kmwu.or.kr/ 2008. 09. 30
· 토요타자동차 홈페이지. toyota.co.jp/en. 2008.10.7
· 혼다자동차 코리아, http://www.hondakorea.co.kr/html/abouthonda/ 2008. 0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