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민족간 경계가 허물어진 상태에서 국제 결혼으로 우리 나라에 보금자리를 잡은 이주민 여성은 민족간, 문화간 정체성의 혼란을 빚을 수밖에 없다. 그것은 가정의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고,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수준별 교재의 부족으로 더욱 그 현상이 심화될 수밖에 없었다.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차별받는 동남 아시아에서 온 이주민들은 한국 사회에서 언어학습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가정의 자녀와 함께 이방인으로 존재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런 다문화 가정 내에서 부모의 불안과 정체성 혼란의 문제, 경제적 빈곤의 문제, 언어 교육 부재의 문제 등은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는 자녀에게 고스란히 답습될 수밖에 없다.
현재 한국 사회 내의 다문화 가정의 증가율로 계산하여 2050년에는 외국인이 한국인 전체의 10%에 이르는 시대가 도래 송종호, 「단일민족환상 깨고 다문화주의로의 ‘전환시대’」, 『현대의 민족 문제와 다문화주의』, 2007, 91쪽.
한다고 할 때, 이는 우리 사회가 더 이상 순혈주의에 기반을 둔 단일민족으로서가 아니라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즉 10, 20년 후에 한국 사회의 경제 구조를 이끌고 형성해 나갈 인재의 10% 이상이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될 것이라는 결론이 나올 수 있다.
다문화 가정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다문화 가정에 대한 한국어 교육은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다문화 교육 시작의 대상이 5~6세 아동이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밝히고, 다문화 가정 내의 어머니를 위한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라 5~6세 아동을 자녀로 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를 위한 교재 내용에 대한 범주를 어디까지로 설정해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1. 단행본, 논문, 학술지
· 국제한국학회, 『한국문화와 한국인』, 사계절, 1998,
· 우리어문학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국학자료원, 2001.
· 한국어내용학회, 『한국인과 한국어문학』, 푸른사상, 2006.
· 최운식, 『함께 떠나는 이야기 여행』, 민속원, 2001,
· 박영순,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003.
· 박영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월인, 2002.
· 허용 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박이정, 2007.
· 김정헌, 『한국어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 박사논문, 2006,
· 홍영숙,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대 석사논문, 2007
· 원진숙, 「다문화 시대 국어 교육의 역할」, 『국어 교육학 연구 제 30집』, 2007
· 송종호, 「단일민족환상 깨고 다문화주의로의 ‘전환시대’」, 『현대의 민족 문제와 다문화주의』,2007.
· 김인회, 「다문화시대 문화교육의 과제」, 『청소년 문화포럼』,2007.
· 이혜련․이귀옥,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입력간의 관계- 동사와 명사를 중심으로」『아동학회지 제 26권 5호』, 2005,
· 임영심, 「유아기 다문화 교육의 방향과 방법」,2007.
· 이성순,「이주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사례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제 27집』,2005,
· 구차순, 「결혼 이주여성의 다문화 가족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2007,
· 박영민․최숙기, 「다문화 시대의 국어교과서 단원 개발을 위한 연구」, 『청람어문교육』, 2007,
· 이문정, 「한글의 문자 특성에 적합한 유아 읽기, 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2004,
· 최일선․김민정, 「‘신’(shoes)주제와 관련된 문학을 통한 다문화교육과정의 접근」,『영유아교육연구』,2001.
· 김해옥․김하수, 「다문화시대의 한국 문학을 통한 언어문화 콘텐츠 구축에 관한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2004.
· 한석실,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모색」,『미래유아교육학회지』,2007.
·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2007.
· 최인자, 「다문화간 소통으로서의 매체교육」, 『국어교육학회』, 2000.
·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2006.
· 김영옥,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미래유아교육학회지』,2007.
· 김대행, 「多文化 時代의 韓國語敎育」,『외국어교육연구』, 2000.
· 최성규, 「B.F Skinner의 언어발달 이론에 기초한 유아의 언어 분석」,1999.
· 박영순, 「다문화시대의 언어교육」,『한국심리학회지』, 2003.
· 이문정, 「한글의 문자 특성에 적합한 유아 읽기, 쓰기 교육」,『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04.
· 최정순, 「다문화시대의 한국어 교육」,『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7.
· 최웅환, 「한국어 교육에서의 언어문화교육」,『문학과언어학회』,2004.
· 2. 인터넷 사이트
· 대한민국 정책 포털 사이트 : www. kore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