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신주무원록 서문

조선시대 세종의 명으로 최치운(崔致雲) 등이 원나라 왕여(王與)가 편찬한 〈무원록 無寃錄〉의 중간본을 참작하여 주해를 더하고, 음훈(音訓)을 붙여 편찬한 의학서. 2권(상·하). 검험(檢驗)의 전문서로서 법의학과 비슷한 지식체계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송대(宋代)의 〈세원록 洗寃錄〉·〈평원록 平寃錄〉에 비하여 그 내용이 훨씬 완비되었다. 고려 중기인 1047년(문종 1년)부터 인명살상에 관한 재판에서 신중을 기하기 위하여 삼심제도를 실시하게 되어 〈무원록〉이 출판된 뒤, 곧 고려에 수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문헌적으로는 1419년(세종 1년) 2월 형조가 검시의 문안(文案)을 주청(奏請)하는 중에 이 책의 이름이 처음으로 보이며, 그뒤 1430년 2월 율학의 취재과목에 〈무원록〉의 검시규례에 의거하도록 했다. 그리고 1438년 11월 세종은 최치운·이세형·변효문·김황 등에게 명하여 이 책을 편찬하게 하여 유의손(柳義孫)에게 서문을 쓰게 한 뒤, 〈신주무원록〉이라는 이름으로 경향 각도에 반포했다. 그 다음해 2월에는 한성부에 명해 검시장식(檢屍狀式)을 따로 공포·간행하고 다시 각도 관찰사를 시켜 그 간판을 모인(模印)하여 각도 각관에게 반포하게 했으며, 1442년에는 모든 검시의 법을 〈무원록〉의 규정에 따르도록 했을 뿐 아니라, 인명치사(人命致死)에 관한 사건이 있을 때는 그 사체가 있는 곳에서 검증을 행한 뒤에 검시장식에 따라 사체검안서(死體檢案書)를 만들어 재판을 실시했다. 한편 이 책을 재판에 응용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삼검제도가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다. ① 초검(初檢):살인사건이 발생한 때는 사체가 있는 곳의 지방관이 먼저 제1차의 시체검험, 즉 초검을 실시한 뒤 검안서를 상부에 제출한다. ② 복검(覆檢):초검관이 인근 지방관에 제2차의 검험을 의뢰하여 복검하는데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다시 3검(三檢)을 실시한다. ③ 3·4검:3검의 경우 중앙에서는 형조에서 낭관(郎官)을 보내고 지방에서는 관찰사가 차원(差員)을 정하여 다시 검험해 최후의 판결을 내리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4검 또는 5사(五査)·6사를 거치는 수도 있다. 이 책의 주요내용은 상권의 경우 주로 시체검안에 관한 법규와 원날의 검험 판례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하권에는 시상변별(屍傷辨別)에 관한 사인들이 열거되어 있다.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11.02 최종저작일 2008.11
6P 미리보기
신주무원록 서문
  • 미리보기

    소개

    조선시대 세종의 명으로 최치운(崔致雲) 등이 원나라 왕여(王與)가 편찬한 〈무원록 無寃錄〉의 중간본을 참작하여 주해를 더하고, 음훈(音訓)을 붙여 편찬한 의학서.
    2권(상·하). 검험(檢驗)의 전문서로서 법의학과 비슷한 지식체계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송대(宋代)의 〈세원록 洗寃錄〉·〈평원록 平寃錄〉에 비하여 그 내용이 훨씬 완비되었다. 고려 중기인 1047년(문종 1년)부터 인명살상에 관한 재판에서 신중을 기하기 위하여 삼심제도를 실시하게 되어 〈무원록〉이 출판된 뒤, 곧 고려에 수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문헌적으로는 1419년(세종 1년) 2월 형조가 검시의 문안(文案)을 주청(奏請)하는 중에 이 책의 이름이 처음으로 보이며, 그뒤 1430년 2월 율학의 취재과목에 〈무원록〉의 검시규례에 의거하도록 했다. 그리고 1438년 11월 세종은 최치운·이세형·변효문·김황 등에게 명하여 이 책을 편찬하게 하여 유의손(柳義孫)에게 서문을 쓰게 한 뒤, 〈신주무원록〉이라는 이름으로 경향 각도에 반포했다. 그 다음해 2월에는 한성부에 명해 검시장식(檢屍狀式)을 따로 공포·간행하고 다시 각도 관찰사를 시켜 그 간판을 모인(模印)하여 각도 각관에게 반포하게 했으며, 1442년에는 모든 검시의 법을 〈무원록〉의 규정에 따르도록 했을 뿐 아니라, 인명치사(人命致死)에 관한 사건이 있을 때는 그 사체가 있는 곳에서 검증을 행한 뒤에 검시장식에 따라 사체검안서(死體檢案書)를 만들어 재판을 실시했다. 한편 이 책을 재판에 응용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삼검제도가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다. ① 초검(初檢):살인사건이 발생한 때는 사체가 있는 곳의 지방관이 먼저 제1차의 시체검험, 즉 초검을 실시한 뒤 검안서를 상부에 제출한다. ② 복검(覆檢):초검관이 인근 지방관에 제2차의 검험을 의뢰하여 복검하는데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다시 3검(三檢)을 실시한다. ③ 3·4검:3검의 경우 중앙에서는 형조에서 낭관(郎官)을 보내고 지방에서는 관찰사가 차원(差員)을 정하여 다시 검험해 최후의 판결을 내리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4검 또는 5사(五査)·6사를 거치는 수도 있다. 이 책의 주요내용은 상권의 경우 주로 시체검안에 관한 법규와 원날의 검험 판례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하권에는 시상변별(屍傷辨別)에 관한 사인들이 열거되어 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此洗寃 平寃錄之所以作也.
    이로써 세원록과 평원록이 만들어졌다.
    然洗寃不如民自以不寃, 平寃又不若天下之無寃.
    원한을 씻음은 백성이 스스로 원통하지 못함만 못하며 워농함을 평정함도 천하에 원통함이 없음만 못하다.
    此東甌王氏無寃錄之所以繼作也.
    이로써 동구의 왕여가 무원록이 계속 만들어짐이다.
    是編蓋專爲 去聲 重罪者設, 其間致死非一端, 爲式非一事, 立法非一致, 蓋無所不備.
    이 편은 오로지 중죄인을 위해 만드니 간혹 죽음에 이름이 한 실마리가 아니며 법식도 한 일이 아니며, 법을 세움도 한가지로 이르지 않으니 갖추어지지 앟음이 없다.
    有官君子用之, 足以輔乃斤斤紀覲反, 察之明也 之明, 行其顯顯之公, 免乎責罰之及, 成其職分之能.
    관리의 군자가 사용하면 족히 보필하여 밝게 살피니 현현한 공을 행하면 벌의 책임이 이름을 면하며, 직분의 능력을 완성한다.
    若是則雖未至刑措, 庶幾其可以無寃也.
    이와 같으면 비록 형벌을 놓지는 않지만 거의 원통함이 없을 수 있다.
    欽惟天朝律祖 法也 於唐, 若網在綱, 莫非期於無寃也.
    조정은 당의 법률을 본받아서 그물에 벼리가 있음과 같으니 원통함이 없도록 기약하지 않음이 없다.
    是編殆使之無違乎律令者耶.
    이 편은 율령이 어긋남이 없게 한 것이다.
    洪武甲子來建陽 建陽, 地名 始見之, 時天台金銘令 天台 地名, 金, 姓, 銘, 名, 令, 職也, 括蒼 金榮中丞 括蒼, 地名, 金, 姓, 榮中, 名, 丞, 職也, 金華 金瑛簿 金華 地名, 金, 姓, 瑛, 名, 簿,主簿 典史,爲北方, 何貞 典史, 職也, 何, 姓, 貞, 名 掌刑曹爲北方員資 掌刑曹, 職也, 員, 姓, 資, 名 一時敬愼相率, 公直相尙, 奉行律令, 兼得是編, 若駕輕車就熟路也.

    참고자료

    · 신주무원록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