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고시대(上古時代)
김시습 영정, 충남 유형문화재 제64호, 충남 부여군 외산면 ...
한국문학의 기원은 구석기시대의 원시종합예술까지 거슬러 올라가 소급된다. 원시종합예술은 무용·음악·문학이 함께 어우러진 예술형태로서, 사회적인 통합을 기하려는 정치적 기능, 초자연적인 힘에 의지하여 재앙을 면하려는 종교적 기능, 생산활동을 고무하여 식생활의 안정을 누리려는 경제적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는 제전형식으로 발생한 것이다. 신석기시대에 이르러서는 풍요를 기원하는 농업노동요와 소박한 단계의 신화 및 서사시가 생겨나 구비전승되었을 것이나 온전한 자취를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신석기시대 이래 수차례에 걸친 민족의 이동과 원주민과의 동화가 이루어지면서 고아시아 계통의 선행문화가 알타이계 이주민의 신화·서사시와 결합하여 고대국가가 형성되는 단계인 청동기시대의 건국신화·건국서사시로 발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천상에서 내려온 환웅과 곰에서 변신한 웅녀 사이에서 단군이 태어났다는 고조선 〈건국신화〉, 해모수와 유화 사이에서 주몽이 태어났다는 부여·고구려계의 〈동명왕 신화〉,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김알지 신화〉, 가야의 〈김수로왕 신화〉 등은 공통적으로 시련을 극복하는 건국영웅의 위대한 행적과 지상의 지배자로서 천상적 권위를 찬양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건국신화들은 주로 국중대회라는 축제의 형식을 통하여 전승되었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과 같은 국중대회는 온 나라 사람들이 모여서 하늘에 제사 지내고 하늘의 권위를 지닌 동시에 집단의 우월성을 보장해주는 군주의 신화적인 내력을 노래와 몸짓으로 구현한 국가적인 행사였다.
신화·서사시의 시대를 지나면서 변모된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노래들이 생겨났다. 한역가로 현전하는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황조가 黃鳥歌〉·〈구지가 龜旨歌〉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공무도하가〉는 연속적인 세계관에 기반하는 신화적 질서가 불연속적인 세계관에 기초하는 새로운 질서로 바뀌는 양상을 보여주며, 〈황조가〉는 파탄에 이른 고구려 유리왕의 개인적인 고독을 하소연한 최초의 서정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신화적인 질서의 동요 흔적은 이러한 고대가요에서뿐만 아니라 고구려 초기의 해명태자, 호동왕자 전설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통사
· ★ 한국문학통사 전5권 :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0
· ★ 한국문학연구소고 : 이가원,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0
· ★ 국문학사 : 김동욱, 일신사, 1979
· 고대
· ★ 조선 중세기 북학파문학연구 : 김병민, 목원대학교, 1992
· ★ 한국고전소설 : 이상택 외, 계명대학교, 1990
· ★ 한국고소설의 조명 : 한국고소설연구회, 아세아문화사, 1990
· ★ 조선왕조소설연구 : 황패강, 단국대학교, 1990
· ★ 한국한문소설사 : 차용주, 아세아문화사, 1989
· ★ 한국상고문학론 : 김학성, 성균관대학교, 1987
· ★ 한국고전문학사 : 김준영, 형설출판사, 1982
· ★ 고전소설연구 : 국어국문학회, 정음사, 1979
· ★ 신라가요연구 : 국어국문학회, 문화출판사, 1979
· ★ 고소설연구 : 이능우, 이우출판사, 1978
· ★ 이조시대소설론 : 김기동, 이우출판사, 1978
· ★ 한국가요의 연구 : 김동욱, 이우출판사, 1978
· ★ 고소설연구 : 이능우, 삼우사, 1976
· ★ 조선평민문학사(민학총서 1) : 구자균, 민학사, 1974
· 근대
· ★ 한국근대작가 연구 : 이주형, 민음사, 1989
· ★ 한국근대문학비평사연구 : 이선영 외, 세계, 1989
· ★ 개화기의 우국문학(신구문고 10) : 민병수 외, 신구문화사, 1974
· 일제강점기
· ★ 1930년대 문학연구 : 한국문학연구회, 평민사, 1993
· ★ 문예사조 : 이선영, 민음사, 1986
· ★ 문예사조사 : 오세영, 고려원, 1983
· ★ 일제시대의 항일문학(신구문고 11) : 김용직 외, 신구문화사, 1974
· ★ 식민지시대문학의 특성연구 : 이명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 현대
· ★ 한국근현대작자작품론 : 윤병로, 성균관대학교, 1993
· ★ 한국현대문학사 : 권영민, 민음사, 1993
· ★ 한국 현대시의 현실인식 : 이희봉, 국학자료원, 1993
· ★ 1960년대 문학연구 :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예하, 1993
· ★ 한국현대소설론 전2권 : 조남현, 국가고시연구회, 1992
· ★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 김윤식, 일지사, 1992
· ★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전8권 : 권영민, 단국대학교, 1990
· ★ 한국현대시인연구 : 홍기삼 외, 청화, 1989
· ★ 한국현대시작품연구 : 김현자, 민음사, 1989
· ★ 한국현대문학사연표 1·2 : 권영민, 서울대학교, 1987
· ★ 한국현대소설의 탐구 : 윤병로, 범우사, 1980
· ★ 해방문단사 : 정한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 ★ 한국현대문학사 : 조연현, 성문각, 1980
· ★ 한국현대소설의 이해 : 조연현, 을유문화사, 1980
· ★ 한국현대시사 : 조병춘, 집문당, 1980
· ★ 한국현대시연구 : 김용직, 일지사, 1979
· ★ 한국현대문학사 : 김윤식, 일지사, 1979
· ★ 한국현대문학사개론 : 조연현, 정음사, 1979
· ★ 현대한국소설론 : 정한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