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 위험성
부적절한 일차방어 : 피부손상, 조직손상, 섬모 활동 감소, 체액 정체, pH 분비 변화, 연동운동 변화
부적절한 이차방어 : 헤모글로빈의 감소, 백혈구 감소, 감염반응 억제와 면역 억제, 후천성 면역결핍, 조직 파괴와 환경 노출 증가, 면역결핍, 조직 파괴와 환경 노출 증가, 면역결핍, 백혈구변화나 부족, 혈액이상, 면역반응 감소, 미성숙한 면역체계
처치 : 신체 내에 삽입된 관이나 선이 있음
투약 : 항생제, 스테로이드, 안정제
장기입원 : 급․만성 질병
환경변화 : 입원, 부동지연, 장기입원, 병원에서 얻은 전염성 요소에 노출
부적절한 면역 상태
★ 변비
배변습관, 활동부족, 부동, 수분섭취부족, 환경 변화(배변환경), 정서변화(스트레스, 슬픔이나 분노, 정서적인 장애), 신경근육 장애(CVA), 섭취량 부족(섬유소, 티아민 등의 십취부족, 적절한 식이 섭위량보다 적게 섭취), 투약, 영양부족(식욕부진, 영양불량), 통증(배변시 통증)
★ 조직관류 변화
부동, 소변량감소, 갈증, 식욕부족, 피로, BUN, Creatine치 상승, 체중증가, 말초부종, 고혈압, 소양증, 정신심리상태 변화, 빈혈, 잠시 기절, 안절부절, 인지기능 변화, 의식상태 변화, 두통, 어지럼증, 기억소실, 혼돈, 지남력 상실, 운동기능저하, 숨가쁨, 빈맥, 심계항진, 비정상적인 호흡음, 말초부종, 청색증, 모세혈관 충만 감소, 흉통, 빈호흡, 부정맥, 저혈압, 차고 축축한 피부, 오심, 구토, 장음저하, 변비, 복부팽만, 맥박감소/부재, 사지 청색증, 사지 혈압변화, 사지 감각장애,혈압, 맥박, 의식수준을 측정, I/O, ABGs을 측정한다.
★ 운동 장애
관절운동범위 제한(침대내에서, 이동시 의도대로 움직이지 못함), 통증 호소, 움직이려 하지 않음, 근력 감소, 조정력 감소, 근육조절력 감소, 신체부분에 대한 지각 감소, 근육량 감소
★ 수면장애
통증, 정서장애, 상황 변화, 배설 장애, 활동 변화, 처치, 투약, 운동부족, 숙면감 부족, 불안정, 안절부절, 피로감, 기면, 졸리움, 무기력, 하품, 무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