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광고전략모델에 대한 이해

광고 수업을 들은 것을 정리한 것입니다. 굉장히 잘 알기 쉽게 정리 되었습니다.
15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08.06.19 최종저작일 2008.03
15P 미리보기
광고전략모델에 대한 이해
  • 미리보기

    소개

    광고 수업을 들은 것을 정리한 것입니다.
    굉장히 잘 알기 쉽게 정리 되었습니다.

    목차

    1. 서론: 광고전략모델은 왜 필요한가?
    2. 광고전략모델에 대한 분석
    1) Saachi & Saachi의 The Brief
    2) J. Walter Thompson의 T Plan
    3) DDB Needham의 R.O.I Springboard
    4) Foote, Cone & Belding의 Grid Model
    5) SSC & B Lintas의 Link Plan
    6) Ogilby & Mather의 Six Key Step
    7) Backer Sprielvogel & Bates의 USP Discipline
    8) 광고전략모델의 비교 분석
    3. 결론: 효과적인 광고전략모델의 활용을 위한 제안

    본문내용

    ‘보다 나은 광고, 보다 효과적인 광고는 없을까’라는 고민은 모든 광고인이 지니고 있는 공통된 고민일 것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심각한 시장 경쟁 상황 및 광고 혼잡상황(advertising clutter) 속에서 보다 효과적인 광고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 그리고 집행된 광고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 평가해야 하는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무 차원에서 광고 기획 업무에 일관된 흐름을 부여하고 관련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광고전략모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전략모델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광고전략모델은 크리에이티브 컨셉 추출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과거에는 크리에이티브 컨셉 추출 과정에 있어 직관, 통찰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이보다 과학과 이성이 중시되고 있다(이종은, 1997). 따라서 광고기획과정에 대한 전략적 사고의 틀을 제시해주고 관련 이론 및 조사 방법에 대한 안내지침의 역할을 해주는 광고전략모델은 크리에이티브 컨셉 추출과정에서 논리적 기초 영역을 다지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광고전략모델은 광고기획 업무와 관련된 광고대행사 내의 부서들 간의 업무 표준화를 위한 도구이자 이들과 광고주 사이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뤄내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광고대행사는 동종업계로의 이직이 많은 직업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광고주 영입에 따라 이를 전담하는 팀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들 사이에서 이뤄지는 커뮤니케이션에 각 회사 나름대로의 일관된 흐름을 부여하기 위하여 회사 고유의 광고전략모델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고대행사의 규모가 방대해지면서 광고기획 업무와 관련된 부서, 즉 기획, 제작, 마케팅, 매체 부서간에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일궈내기 위하여 광고기획에 대한 전략적 사고과정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그 결과물인 광고전략 기획서를 작성,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하겠다.

    참고자료

    · 김진환 (1992). 광고전략모델 R.O.I.의 이해와 응용. 광고연구, 1992년 가을호, 177-202.
    · 대홍기획 (1997). The Springboard Approach by DDB Needham Worldwide.
    · 박기철 (1989). 광고전략모델 실행화를 위한 소고. 사보 동방기획, 1989 5월.
    · 서범석 (1998). 광고기획론. 나남출판.
    · 오두범 (1996). 광고전략의 주요 쟁점에 관한 평가 분석. 광고연구, 1996년 여름호, 313-339.
    · 아오키 유키히로 외 (1997). 한국브랜드매니지먼트 연구소 옮김. 전략적 브랜드 관리의 이론과 사례. 21
    · 세기 북스.
    · 이명천 (1990). FCB 그리드 모델의 타당성과 활용을 위한 전제. 광고연구, 1990년 가을호, 113-138.
    · 이종은 (1997). 광고기획 전략론. 도서출판 컴퓨터.
    · Broadbent, Tim (1999). Evaluating Advertising. In L. Butterfield(2nd ed.), Excellence in Advertising, 215-230. Butterworth Heinemann.
    · Clemmow, Simon (1999). Strategy Development. In L. Butterfield(2nd ed.), Excellence in Advertising, 63-82. Butterworth Heinemann.
    · Lavidge, R. & Steiner, G. (1961).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25(Oct.), 59-62.
    · Ratchford, Brian. New Insights about the FCB Gri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7(4), 24-38.
    · Schultz, D. (1990). Strategic Advertising Campaigns. NTC Press.
    · The Backer Spielvogel Bates (1988). Strategic Planning Process.
    · Vaughn, Richard. (1980a). The Consumer Mind: How to Tailor Ad Strategies. Advertising Age, June 1980, 45-46.
    · Vaughn, Richard. (1980b). How Advertising Works: A Planning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0(5), 27-33.
    · Wells, William. (1989). Planning for R.O.I.: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 www.ddbn.com
    · www.jwtworld.co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