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시대의 교육과 콘텐츠 개발 방안
- 최초 등록일
- 2008.04.23
- 최종 저작일
- 2008.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사범대학 교직과목 중 교육공학 시간에 제출한 보고서입니다.
유비쿼터스와 교육을 접목시키고
이에 따른 콘텐츠 개발방안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목차
유비쿼터스 학습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방안
Ⅰ. 유비쿼터스
Ⅱ. 유비쿼터스 학습을 위한 모바일 콘텐츠 개발
Ⅲ. 유비쿼터스 학습의 발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가 유비쿼터스 학습을 얘기할 때, 기존의 교실에서 이뤄져왔던 학교 교육을 배제한 유비쿼터스 학습이 되어서는 안 된다. 유비쿼터스 학습이 진정으로 우리 생활 속에 들어와 우리들과 자연스럽게 공존하는 시점은 바로 러닝 앞에 붙어 있는‘U’가 빠지고 현실 공간과 사이버 공간의 구분 없이 학습이 이뤄지는 날이 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가 된다고 해서 우리 교육의 현안 문제들이 모두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리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유비쿼터스 환경을 교육 활동에 어떻게 접목시키느냐에 따라서 미래 교육의 모습은 달라질 것이다. 즉, 새롭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신기술들을 미래 교육을 위한 다양하고 효율적인 수단으로써 적절하게 활용할 때, 우리 교육의 미래 모습은 새로운 희망을 갖게 될 것이다.
덧붙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 교육이 현재 교육의 부족한 면을 보완하고,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긍정적 대안으로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노력, 그리고 교육관계자들의 혜안(慧眼)이 함께해야 할 것이다.
다가올 유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하여 우리가 미래 교육을 위해서 준비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유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한 미래 교육 비전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부의 비전과 투자, 교육과 학습의 가치에 대한 학습자들의 믿음과 기대, 신개념 정보통신분야에 대한 국민의 호기심과 수용, 핵심 기술 분야의 잠재된 내적 역량들이 한데 어우러져야 한다.
두 번째로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 교육을 위한 체계적 R&D 가 필요하다.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한 매체 및 미디어 활용 방법,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R&D 등 기술과 교육의 균형 있고 체계적인 R&D가 필요하다.
세 번째로 정책추진 부처 간 및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해야 한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 교육은 교육부와 관련부처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산학연이 연계된 공동 프로그램 또는 협의회를 운영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
참고 자료
권오병, 정기욱 (2004).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이해. 신론사
정창덕 (2004). 유비쿼터스 모델 사례. MJ미디어
김덕중, 김연주 (2002) e-Learning 기획실무 스타일 가이드. 도서출판비비컴
서정희, 김용 (2005) 미래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의석 (2005) 유비쿼터스러닝의 성공요소,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정희식 (2002) 모바일 교육 현황과 발전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황대준 (2005) 유비쿼터스 시대, 미래 교육을 위한 준비. 교육정책포럼
방효창. 유비쿼터스 콘텐츠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과제와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