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지방선거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지방선거 투표율 하락의 요인들을 찾아보고, 요인간 실증분석을 토대로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논의의 전개를 위해 선행연구 및 외국사례를 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은 AMO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투표율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인들을 확인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정치․정부불신이 투표율 하락의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투표 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해보았다.
2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4.08 최종저작일 2007.01
26P 미리보기
지방선거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소개

    본 연구는 지방선거 투표율 하락의 요인들을 찾아보고, 요인간 실증분석을 토대로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논의의 전개를 위해 선행연구 및 외국사례를 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은 AMO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투표율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인들을 확인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정치․정부불신이 투표율 하락의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투표 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해보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고찰 및 외국사례의 검토
    1. 지방선거의 투표율 하락 실태
    2. 선행연구의 검토
    (1) 유권자 행동분석의 접근방법
    (2) 투표율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 정치․정부 불신
    2) 기회비용
    3) 투표 효능감
    4) 정치적 관심
    5) 정치참여수준
    6) 기타요인
    3. 외국사례의 검토
    (1) 외국의 투표율 실태
    (2) 외국 사례의 시사점

    Ⅲ. 분석틀의 설정 및 연구방법론
    1. 분석틀의 설정
    2. 조사 설계

    Ⅳ. 분석결과의 논의
    1. 투표율 하락요인에 대한 구조모형 및 영향력 분석
    (1) 신뢰성과 타당성 검토 및 구조모형 분석
    (2) 투표율 하락요인에 대한 영향력 분석

    2. 분석결과의 함의 및 대안모색
    (1) 분석결과의 함의
    (2) 투표율 제고를 위한 대안 모색

    Ⅴ. 맺음말

    본문내용

    <논문 요약>

    최근 우리나라 지방선거에서 투표율은 점차 낮아져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30여년 만에 부활된 지방선거는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투표율 68.5%를 기록했지만 이후로 계속하여 하락, 1998년의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경우 52.7%를 기록했고, 2002년의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48.8%라는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여러 가지의 선거 중에서 국민들의 관심이 상대적 의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것이 지방선거라고 하더라도 이와 같이 낮은 투표참여율은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의 의미를 퇴색시킨다.
    이 연구는 바로 이처럼 낮아지는 투표율 하락의 요인, 즉 어떤 요인으로 인해 유권자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려고 하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투표율의 하향화라는 일반현상을 바로잡지 못한다면, 장기적으로 대의민주주의의 민주성․정통성․대표성에 결여를 가져올 것이며 결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인식하에 본 연구는 지방선거 투표율 하락의 요인들을 찾아보고, 요인간 실증분석을 토대로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논의의 전개를 위해 선행연구 및 외국사례를 살펴 투표율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요인들 상호간에 일정한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는 일련의 가설을 세웠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은 AMOS(Version 4.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구조모형의 분석을 통해 몇 가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투표를 함에 있어 지불되는 기회비용이 정치 무관심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예상했던 대로 정부․정치에 대한 불신은 투표율 하락에 대한 직접적인 요인이었으며, 각각 투표자의 투표 효능감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정치참여 수준과 정치 무관심도 투표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참고자료

    · <참고 문헌>
    · 강원택. 2002. “투표불참과 정치적 불만족,” 《한국정치학회보》. 36-2.
    · 김민정. 2004. “20-30대 유권자의 신념체계, 정치심리 및 정치행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 김선웅․조기숙. 2002. “총선연대의 낙선운동이 16대총선 투표율을 낮추었나?,”《한국정치학회보》. 36-1호.
    · 김정옥. 2003. “한국의 지방선거와 지방정치에 관한 연구,” 경성대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 논문.
    · 김철수. 2003. 《헌법학개론》 서울 : 박영사
    · 남궁준. 2003. “한국의 공직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문재우. 2002. “한국 지방선거제도의 현재와 미래,” 하계학술발표 제11회 한․일 지방자치 국제세미나.
    · 문태현. 1987. “공공정책의 신뢰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35-362
    · 박승준. 2005.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한 전자투표 모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자상법래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 박현숙. 2004. “한국인의 투표행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 사회학전공 석사학위논문.
    · 백란숙. 2005.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행정학석사 학위논문.
    · 손호중․채원호. 2005. “정부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39-3.
    · 오영훈. 2003. “정치관여 수준에 따른 유권자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명선. 2002. 《인터넷 시대의 헌법 강의≫ 서울 : 대명출판사.
    · 이현출. 2006. “외국의 메니페스토와 한국에의 도입을 위한 시사점-한국형 메니페스토의 정착과 확립,”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이종수. 2000. “지방선거 투표율에 관한 국가간 비교와 한국지방선거의 투표율 결정요인 고찰,”《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새천년 행정학 패러다임》.
    · 장 훈. 2000. 《호주의 정당정치와 선거제도》. 서울 : 지구문화사.
    · 정진민․황아란. 1999.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한국정치학회보》 33-2호.
    · 정진우. 2003. “전자투표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탐색연구,” 《행정논총》 41-4호.
    · 조기숙. 1993. “합리적 유권자 모델과 선거분석,”《한국의 선거Ⅰ》, 서울 : 나남 출판사
    · 조기숙. 2000. 《지역주의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서울 : 나남출판사.
    · 조 민. 1995. “지역갈등 해소방안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29~37.
    · 최영오. 1997. “유권자의 정치지도자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아란. 1995. 《한국의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Brinkerhoff. 1999. "State-civil Society Networks for Policy Impl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Policy studies Review. 16(1)
    · DETR. 2000. Turn Out at Local Elections. London: Department of Environment, Transport and Region.
    · Downs. 1968.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New York & Row. 1957): William H. Ricker and Peter Ordeshock, “A Theory of the Calculus of voting,"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Vol 65 : 25-42.
    · Fiorina, Moris P. 1981.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National Elections.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 Kanazawa, Satoshi. 1999. "A Possible Solution to the Paradox of Voter Turnout," Journal of Politics. Vol 60 : 974-995.
    · Katz Richard. 1997. Democracy and Elec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Lapp. M. 1999. "Incorporating Groups into Rational Choice Explanations of Turnout: An Empirical Test," Public Choice. Vol. 98. 171-185.
    · Macy. Michael. W. 1989. "Walking Out of Social Traps : a Stochastic Learning Model for Prisoner`s Dilemma," Rationality and Society. Vol. 1. 197-219.
    · Macy. Michael. W. 1993. "Backward-Looking Social Control.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8.
    · Miller. 1988. Irrelevant Electio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Miller․Brown. 1973. "Majority Party in Disaray : Policy Polarization in the 1972 Elec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New Orleans.
    · Natches․Bupp. 1968. "Candidates, Issues and Voters," Public policy.
    · Patterson Thomas. 1993. Out of Order, New York : Knopf.
    · Putnam, R., 1993. Making Democracy Work : Civic Traditional in Morden Italy, N. 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Rallings Colin․Michael Thrasher. 1997. Local Elections in Britain. New York : Routledge.
    · Rothstein Bo. 2001. "Social Capital in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Politics and Society. 29(2) : 207-241.
    · Stolle, Dietlind. 2000. Social Capital-A New Research Agenda? Toward an Attitudinal Approach. paper presented for the ECPR Workshop 12 Voluntary Associations, Social Capital and Interest Mediation : Forging the Link, Copenhagen.
    · Tocqueville. 1984. Democracy in America. renewed by Richard D. Heffner. New York : New American Library, A Division of Penguin Books.
    · Wattenberg. 1994.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 뉴욕타임즈. http://www.nytimes.com
    · 메니페스토추진본부. http://www.manifesto.or.kr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http://www.nec.go.kr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 경향신문. 2005. 10. 21
    · 중앙일보. 2006. 5. 22
    · 한겨레신문. 1998. 6. 7
    · New York Times. 2005. 4. 29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