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한국의 전투복(갑옷을 중심으로)

한국의 전투복에 대하여 여러 사료적 자료들을 근거로 작성한 리포트 입니다. 각각의 유적과 유물들에 대하여 사진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1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2.25 최종저작일 2008.02
16P 미리보기
한국의 전투복(갑옷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소개

    한국의 전투복에 대하여 여러 사료적 자료들을 근거로 작성한 리포트 입니다. 각각의 유적과 유물들에 대하여 사진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우리나라 갑주의 개념·변천·구성
    ① 한국고대 갑옷과 투구의 변천
    ② 갑옷(板甲)
    ③ 투구(胄)류
    ④ 갑주양식에 따른 보조갑주

    3. 우리나라의 갑주
    (1) 골갑주[骨甲주] ― 골찰갑(骨札甲)
    (2) 가야판갑[伽倻版甲] ― 단갑(短甲)
    (3) 쇄갑[鎖甲]류
    ① 쇠사슬갑
    ② 경번갑[鏡幡甲] ― 환갑(環甲)
    ③ 쇄자갑[鎖子甲]
    (4) 내갑의[內甲衣]
    (5) 금칠도철갑[金漆塗鐵甲]
    (6) 찰갑주의 구성 - 기마철갑[騎馬鐵甲]
    (7) 두정갑[豆釘甲]류
    (8) 면흉갑[棉胸甲]
    (9) 면피갑[棉皮甲] ― 견피갑(絹皮甲)
    (10) 모피 갑주[毛皮甲胄]
    (11) 용린갑[龍鱗甲] ― 두석린갑(豆錫鱗甲)
    (12) 황룡린갑[黃龍鱗甲] ― 도금동엽갑(塗金銅葉甲)
    (13) 가죽갑류 - 저피갑[저皮甲]
    (14) 현갑[玄甲] ― 유엽갑(柳葉甲)
    (15) 종이갑[紙甲] ― 사사을갑(沙士乙甲) = 철흉갑[鐵胸甲]
    (16) 철편갑[鐵片甲] ― 철갑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갑옷, 그러니까 갑주는 전쟁터에서 형식상 또는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걸치는 것과 같이 단순한 것이 아니다. 우리 선조들의 갑주는 단순한 보호 장구 이상의 것으로서 당시의 최첨단 기술의 집약이자 군인정신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장군의 권위를 높이는 휘황찬란하면서 당대의 신기술이 집약된 것에서부터, 가난한 민중들이 조금이라도 자신들의 목숨을 더 보호하기 위한 안간힘이 녹아있는 소박한 것까지 갑주의 종류는 다양하다.
    갑주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은 만큼 무엇보다 그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고 우리나라에 어떠한 갑주들이 있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것들이 전해지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한다.

    2. 우리나라 갑주의 개념·변천·구성
    갑주는 갑옷과 투구를 말하는데 이는 비단 금속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외부의 공격이나 환경으로부터의 위험에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착용하는 비평상 의복 전체를 뜻한다. 따라서 보호를 위해서 생가죽을 의복에 덧댄다면 그것도 하나의 갑주가 된다.
    다른 무기들도 그러하듯 갑주도 역시 우리나라의 기원전 ․ 후부터 대략 10세기 이내의 원삼국과 삼국시대에 가장 다양하고 그 시대별로 따져도 동북아에서 뛰어났던 축에 속한다.
    무기와 마찬가지로 갑주도 그 나라의 문화나 전쟁양상에 따라 그 양식이 달라지는데 서양과 동양의 갑주가 그 방호의 원리에는 서로 아주 유사한 동질성을 지니면서도 다른 방식으로 발전한 것도 그 때문이다. 우리의 것은 무엇보다도 활동성을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서양의 갑주 같은 육중하고 정교한 스타일과는 거리가 멀다. 실용적이며 검소한 것이 대부분이며 어떤 것은 잘 치장된 의복과도 같은 멋스러움을 지닌다. 갑주 재료는 뼈·가죽·철·놋쇠·비단·모직·면·한지 등 매우 다양하고 갑장(甲匠)이라는 전문가의 손에서 만들어진다.

    참고자료

    · (1) 참고도서
    · 1) 「무기와 갑옷」바이엄 ․ 미셸 김애지, 웅진미디어, 1993
    · 2) 「한국고대의 갑옷과 투구」국립김해박물관, 마이다스 21, 2002
    · 3) 「조선의 무기와 갑옷」민승기, 가람기획, 2004
    · 4) 「무기와 화약」김기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 (2) 참고 싸이트
    · 1) http://www.museum.go.kr/kor/index.jsp
    · 국립중앙박물관
    · 2) http://bchmuseum.busan.kr/index.jsp
    · 부산복천박물관
    · 3) http://gimhae.museum.go.kr/
    · 국립김해박물관
    · 4) http://www.cha.go.kr/unisearch/korea/Uniresult1.jsp
    · 문화재지식정보센터
    · 5) http://nricp.go.kr/korean/dic/dicview.asp?id=330&GotoPage=1&state=search&b_na
    · me=&b_memo=&txtSearchString=갑옷&From=
    · 국립문화재연구소-갑옷과 투구
    · 6) http://home.megapass.co.kr/%7Eksy913/koreanfantasy_note2_new.htm#방어구
    · 한국환상사전 ③무기와 방어구편
    · 7) 한국복식문화사전(1998) / 김영숙
    · 8) http://gayasa.net/gaya/History/documents/Ismnpds_cs.php?Pgubun=view&Pspnum=7
    · 송계현(부산복천박물관), 2001,『4~5세기 동아시아의 갑주』가야 역사 문화 학술 세미나자료
    · 9) http://www.kbs.co.kr/end_program/1tv/sisa/history/vod/vod,1,list,20.html
    · 역사스페셜-가야 흥망의 블랙박스, 철갑옷
    · 10) http://jsd.snu.ac.kr/jsd/forum/hist/noname69.htm
    · 東夷傳 高麗
    · 11) http://www.naver.com
    · 지식검색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