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길운,「평시조 , 사설시조 , 가사의 발생 :「 삼구육명 」은 6음보의 3행가형식」,『관악어문연구 권 3』, 1978
· 강명혜,『고려속요 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북스힐, 2002
· 강재헌, 「김수장의 시조 인식과 문학사적 의의」, 『어문연구 제48집』, 어문연구학회, 2005. 8
· 고미숙, 「사설시조 율격의 미적 특질(1)」, 『민족문화연구』26, 고대 민연, 1993
· 고미숙, 「안민영의 작품세계와 그 예술사적 의미」, 『한국학보, Vol.17』, 일지사, 1991
· 김영수, 「사설시조와 性愛」, 『조선시가연구』, 새문社, 2004
· 김채석, 「사설시조(辭說時調)의 근대문학적 의의」, 『한성어문학, Vol.3』,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984
· 김학성,「辭說時調의 장르形成 再論」,『대동문화연구 권 20』, 1986
· 김흥규, 『한국고전문학전집2 사설시조』,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93
· 金希珍,「辭說時調 發生期에 관한 一考察 : 李璋의 長歌事件을 中心으로」,『국어교육 권 49』, 1984
· 류연석,「사설시조의 미학적 특징」,『시조와 가사의 해석』, 역락, 2006
· 朴乙洙,『時調文學全史』, 成文閣, 1978.
· 박철희,「사설시조와 그 배경 : 사설시조는 자유시이다」,『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 신은경, 『사설시조의 시학 연구』, 서강대 박사학위 논문, 1988
· 신은경,『辭說時調의 詩學的 硏究』, 개문사, 1992
· 서원섭, 『시조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88
· 원용문,「사설시조의 성격 연구」,『청람어문교육 권 29』, 2004
· 이능우,『사설시조의 구조와 그 배경』, 선명문화사, 1966
· 이동철, 「사설시조에 나타난 先人들의 平常的 視角」,『시조문학산고』, 국학자료원, 1997
· 정재호, 『한국 시조 문학론』, 태학사, 1999
· 鄭在晧 編, 『韓國雜歌全集』2, 계명문화사, 1984
· 정상균, 「김수장 시조 연구」, 『국어교육, Vol.59, No.0』, 한국어교육학회, 1987
· 조동일,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한길사, 1982
· 최동국, 「시조」,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 홍정자, 『사설시조의 반구구조 연구』,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