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시의 흐름 (김소월,한용운의 대표시)
- 최초 등록일
- 2007.11.18
- 최종 저작일
- 2006.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1920년대 시의 흐름을 그 시대 대표작인 김소월님의 진달래 꽃과 한용운님의 임의 침묵을 가지고 설명하였습니다.
목차
1. 1920년대 근대시의 흐름
2. 김소월의 시 세계
3. 만해 한용운의 시 세계
4. 맺음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1920년대 근대시의 흐름
1920년대는 일제하의 암울한 상황 속에서 민족 문화의 정통성을 모색한 시기이다. 3.1운동 직전까지 있었던 다양한 형태의 시가들이 서서히 시의 범주 밖으로 밀려나고 자유시만이 중심적인 형식으로 남게 되었다. 또 낭만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등의 서구 문예 사조가 혼입되어 우리 문학의 서구화, 현대화를 촉진한 시기이자 현대 문학의 다양한 경향을 실험하고 새로운 기법을 시도했던 현대문학의 모색기였다.
서구 지향의 자유시의 범람과 3.1운동을 계기로 이루어진 민족주의 정신은 당시의 문단에 우리의 전통적인 것에 대한 관심과 자각을 일깨웠으며, 조선어의 존중, 고유한 향토어, 조선의 독창적 시형의 모색 등을 추구하게 했다. 그리고 이전의 정형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시 형태를 지향해 내용 면에서 근대적인 개인의 정서를 형식면에서 정형성을 탈피한 시들이 등장하였다.
1920년대 우리 시의 커다란 흐름은 흔히 낭만주의 시, 현실 수용과 그 비판의 사회시, 민요시이다. 낭만주의 시 특징으로는 앞선 시기의 시에 비하여 대상의 감각적인 해석과 시어의 확충, 시의 장형화, 감정의 과도한 표출과 현실도피적인 경향을 주도하였다. 그리고 3.1운동 실패에 따른 좌절과 정신적 정체는 당시 시인들로 하여금 현실보다는 과거, 삶보다는 죽음에 더 관심을 기울이게 만드는 작용도 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낭만시를 추구했었던 시인들은 낭만주의 시에 한계가 있음을 느끼게 되었다.
참고 자료
1. 김윤식. 김우종 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 송희복 『김소월 연구』, 태학사.
3. 김학동 편 『한국문학의 현대적 해석 2 - 김소월』, 서강대학교 출판부.
4. 박철희 편 『한국문학의 현대적 해석 11 - 한용운』, 서강대학교 출판부.
5. 신동욱 편 『한국현대 시인연구 8 - 한용운』, 문학 세계사.
6. 최동호 저 『한용운』혁명적 의지와 시적 사랑, 건국대학교출판부
7. 오하근 편 『원본 김소월 전집』, 집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