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가스화] 석탄가스화 발전

*오*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7.08.31
최종 저작일
2007.03
1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석탄가스화 발전의 구조와 원리
정제공정의 종류 향후 발전방안들에 관한...보고서입니다.

목차

Ⅰ. IGCC 개요
Ⅱ. 석탄가스화 공정
Ⅲ. 석탄가스화 정제공정
Ⅳ. 결론

본문내용

원 리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은 석탄, 중질잔사유 등의 저급원료를 고온, 고압하에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 반응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가스를 제조하여 정제한 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을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신 발전기술입니다.
4. 기술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1) 기술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부담과 신 재생 에너지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 IGCC 상용화 필요.
-정부의 2012년까지, 총 발전량의 7%를 신 재생 에너지 발전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한 대용량 신 에너지 발전기술임.
(2) 산업자원부의 제 2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실행 및 폐기발전소 대체 추진.
-2012년 300MW CCT #1 준공계획 실행과 2010년 이후 설비 노후화 되는 석탄화력의 대체 가능(2015년 까지 1,500MW 폐지계획)
(3) IGCC 실증 플랜트 설계 및 건설 국내 기술의 확보 필요.
-IGCCS는 현재 상용화 초기단계로써 IGCC 설계 및 제작, 건설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수 요가 증가 중인 동남아 IGCC 플랜트 건설/운전에 진출(특히 중국)
(4) IGCC 실용화 추진계획(안)은 제 14차 과학 기술관계 장관회의(06.3월),제 4차 국가에너 지자문회의(06년.5월)를 통하여 그 필요성이 인정되어 기 의결.

참고 자료

1) Williamson.D.I(1992) : GE Industrial & Poewr Systems-1992 State of the Art Opening Remarks. 36th State-of-the-Art Seminar.
2) IGCC Demonstration Plant(1990.5). International Power Generation.
3) Mounce, W.R., et al. : Coal Gasification Clean up Requirementsand Practice.
4) 지평삼, 김종진, 정진도, 김남호(1992)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동향, 한기계학회지.
5) 박태준 (1992) : IGCC 연구기획을 위한 자료조사 및 연구협력, KIER보고서
*오*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신·재생 에너지 7페이지
    : 연료전지, 석탄가스화 및 액, 수에너지(3개)2) 신·재생 ... 재생에너지 : 태양광,태양열,바이오,풍력,수력,해양,폐기물,지열 (8개)신에너지 ... 비해 비교적 지구 상에 고르게 분포한다.④ 발전를 건설할 때 자연
  • 워드파일 기후 변를 막을 기술 8가지 2페이지
    생각한다. 전력과 연료에서 탈탄 : 발전 연료를 석탄에서 천연가스 ...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에너지 효율과 절약 : 발전 효율성의 개선 ... 과 연료에서 탈탄 : 발전에서 포집된 탄의 저장 (storage of
  • 한글파일 9차전력수급에 대한 정리 및 견해 A+ 과제 18페이지
    발전석탄발전에 비해 LNG 발전에서 온실가스가 약 45%덜 나오기 ... 때문에 석탄발전를 LNG발전로 대체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확연히 ... 수요관리 강, 과감한 석탄감축, 온실가스?미세먼지 저감, 신재생에너지
  • 한글파일 석탄의 환경적 영향과 우리나라 산업에 미치는 영향 5페이지
    가스를 의미한다. 이미 세계의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2004년부터 ... 석탄발전폐기하겠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탈석탄 ... 결과 천연가스 발전석탄 발전을 추월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석탄 발전
  • 한글파일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의문과 대안(환경보건, A+보고서, 참고문헌8개) 7페이지
    기술하였다. 가. 원자력의 청정성은 원자력발전발전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적게 ... 주장은 원자력발전발전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다는 한 측면만을 ... 깨끗한 에너지원이 아니다 (표1) 전력 및 열 생산을 함께 고려한 온실가스
  • 한글파일 유럽지역의 바이오가스 시장에 대해서 5페이지
    산물과 가축 분뇨를 섞어 발효할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로 열병합발전를 가동하는 ... . ‘에너지 구상 2010’은 단계적인 온실가스 배출 감축, 재생에너지 이용 ... 월을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발전는 폴란드 전역 총 3,043 곳에
  • 파워포인트파일 에너지자원 한국의 석탄산업 현재와 미래 26페이지
    이용 기술 IGCC( 석탄가스화복합발전 ) 출 ) Hello T ... 05 한국석탄산업의 미래 8 차전력수급기본계획 석탄발전 발전설비 ... 한국 석탄산업의 현재와 미래 에너지 자원 공학 김세호 조준희 이강휘 홍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석탄 가스화] 석탄가스화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