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은 같은 해인 1501년에 태어났다. 사림의 영수로 추앙받을 만큼 당시를 대표하는 지식인으로서 사화가 휩쓸고 간 16세기 조선 사회에서 두 사람은 어떤 행동을 보여줬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황은 난진이퇴(難進易退)를 거듭하였고, 조식은 처사(處士)로서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의 출처관과 현실인식은 비교되곤 한다. 율곡 이이는 두 사람보다 30여년 늦은 시기에 태어났으며, 역시 16세기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이의 현실인식과 적극적인 정치 참여와 개혁의지는 앞선 두 사람 과는 또 다른 사상과 삶으로 대비·대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16세기 조선 사회를 함께 살아간 지식인으로서 성리학을 탐구했던 이황, 조식, 이이지만, 그들은 서로 다른 배경에서, 서로 다른 성품을 가지고 그 시대를 살았기에 저마다 자신만의 사상과 삶을 만들어 간다.
이번 발표문에서는 세 사람의 사상과 삶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차이는 어디에 근거하는 것인지, 또 그 시대적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1. 정치적 상황
16세기 조선왕조 정치사 내지 정치사회사는 기존의 훈구파와 그에 대응하여 새로이 등장한 사림파 사이의 갈등이 극복되고, 후자가 주도적 정치세력으로 정착하여 공론에 입각한 사림정치를 전개해나간 것으로 축약될 수 있다.
15세기 누차의 변란을 통해 생산된 공신세력은 타의 도전을 거의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정국을 운영해가고 있었다. 이 같은 현실상황에서, 국왕의 처지에서는 신권에 대한 견제를 통해 신료 간의 세력균형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었고, 일부 신료나 지배층의 처지에서도 정치권력의 공유를 통해 스스로의 도태나 소외를 막아야 할 필요성이 생겨난다.
· 정옥자 외,『시대가 선비를 부른다』, 효형출판사, 1998
· 김갑동 외,『옛 사람 72인에게 지혜를 구하다』,푸른역사, 1999
· 김성우,『조선중기 국가와 사족』,역사비평사, 2001
· 한희숙,「조선 중종대 도적의 활동과 그 특징 : 16세기 민의 동향에 대한 연구」,『역사학보』,제157집, 1998
· 이병휴, 「조선왕조 16세기 정국의 추이와 영남사림파의 대응」,『역사교육논집』25호, 1999
· 금장태, 「퇴계·남명·율곡과 선비의식의 세 유형」,『퇴계학보』110호, 2001
· 김범,「조선 중종대 역사상의 특징과 그 의미」,『한국사학보』제17호, 2004
· 이황
· 윤사순,『퇴계철학의 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0
· 정순목,『退溪正傳』, 지식산업사, 1992
· 금장태, 『퇴계의 삶과 철학』,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 예문동양사상연구원(윤사순 편저),『한국의 사상가 10人 : 퇴계 이황』, 예문서원, 2002윤사순, 「퇴계에서의 자연과 인간; 그의 자연관과 인간관」,『퇴계학보』75·76호, 1992
· 박양자, 「퇴계의 자연관: 특히 出處進退觀을 중심으로」,『퇴계학보』75·76호, 1993
· 조식
· 남명 조식, 『사람의 길, 배움의 길 :학기 유편』, 한길사, 2002
· 허권수,『남명 조식』지식 산업사, 2001
· 허권수,『절망의 시대 선비는 무엇을 하는가』,한길사, 2001
· 유명종,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 세종출판사, 2001
· 박병련 외, 『남명 조식 : 칼을 찬 유학자』, 청계, 2001
· 예문동양사상연구원(오이환 편저), 『한국의 사상가 10人 : 남명 조식』, 예문서원, 2002
· 손영식, 조남호, 『남명 조식의 철학사상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신병주, 「남명 조식의 학문 경향과 현실인식」,『한국학보』58호, 1990
· 권인호, 「남명 조식의 현실인식과 출처사상 연구」,『남명학 연구논총』3권, 1995
· 이이
· 황준연,『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 1995
· 황준연,『이율곡, 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정원재,「이이의 본성론」『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1
· 유명종, 「율곡의 학풍과 사상」『동아대학교 석당 전통문화연구원』, 세종출판사, 2002
· 한국역사연구회,「조선시대 유학사상연구」,『역사와 현실』7호, 1992
· 이동인, 「율곡의 정치사상과 정치개혁론」,『한국학보』77호, 1994
· 송석구, 「이이의 근대의식」,『 율곡사상연구』, 1995
· 송석구, 「율곡 이이선생 사상의 정해」『율곡학보』,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