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30여 명의 일본 근대 문학가들의 작품 소개와 줄거리, 그에 따르는 심층 감상과 평가를 다루고 있다. 주로 원문을 인용하여 그에 따른 감상을 주로 하고 있다.목차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의 「키대보기(たけくらべ)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탁한 강(にごりえ)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의 일기
모리 오오가이 (森鷗外)의 「무희」
시마자키 토오송(島崎藤村)의 「파계(破戒)」
타야마 카타이(田山花袋)의 「이불(蒲団)」
시마자키 토오송(島崎藤村)의 「봄(春)」
모리 오오가이의 『청년(青年)』에 대하여
모리 오오가이(森鴎外)의 「기러기(雁)」
나츠메 소오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나츠메 소오세키의 「꿈 열흘 밤(夢十夜)」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도련님(坊ちゃん)」
나츠메 소오세키의 『고코로(こころ)』
타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의 「문신(刺青)」
타니자키 쥰이치로(谷崎潤一郞)의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시가 나오야(志賀直哉)의 「키노사키에서(城崎にて)」
시가나오야(志賀直哉)의 「암야행로(暗夜行路)」
시가 나오야(志賀直哉) 「잿빛 달(灰色の月)」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라쇼몽(羅生門)」
아쿠타가와 류우노스케(芥川竜之介)「덤불 속(藪の中)」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코(鼻)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의 「갑파(河童)」
요코미츠 리이치(横光利一)의 「기계(機械)」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이즈의 무희伊豆の踊子」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의「설국(雪国)」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산소리(山の音)』
가와바타 야스나리 「센바즈루(千羽鶴)」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인간실격「人間失格」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사양(斜陽)」
미시마 유키오(三島由起夫)의 「금각사(金閣寺)」
미시마 유키오(三島由起夫)의 「가면의 고백(仮面の告白)」
아베 코오보오(安部公房)의 「모래의 여인(砂の女)」
오오에 켄자부로(大江健三郎)의 「사육(飼育)」
오오에 켄자부로(大江健三郎)의 「개인적인 체험(個人的な体験)」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의 「방랑기(放浪記)」
본문내용
1. 작가 소개 및 생애 (1872년 5월 3일 ~ 1896년 11월 23일)도쿄(東京)출신의 일본 문학의 소설가, 작가, 가인(歌人)이다. 아버지는 도쿄부청(지금의 도쿄도청) 공무원인 히구치 타메노스케(樋口為之助)-후에 노리요시(則義)로 개명-, 어머니는 타키(多喜)이다. 히구치의 호적명은 나츠(奈津)이며, 나츠코(夏子)로도 불렸다. 가인으로서는 나츠코(夏子), 작가로서는 이치요(一葉), 신문소설에서는 아사카노 누마코(浅香のぬま子), 카스가노 시카코(春日野しか子)로서 필명을 나누어 썼다.
도쿄(東京) 중류 가정의 둘째 딸로 태어난 히구치 나츠(樋口奈津)는 어려서부터 조숙하고 배우겠다는 열의가 강해 5살 때 이미 동네 학교에 입학했지만 어리다는 이유로 퇴학 당하자 요시카와(吉川) 학교에 편입했다. 그 후 집이 이사하는 바람에 도쿄사범학교 부속초등학교에 다니다 11살 때 세아카이학교로 옮겨 초등고등과 제4급을 수석으로 수료했으나 중퇴하고 만다. 그리고 1886년 14살 때 나카지마 우타코(中島歌子)가 있던 `하기노야(萩の舍)`라는 개인교습소에 가서 와카(和歌)와 서예, 고전을 배운다. 그러나 15살 때 큰오빠, 17살 때 아버지가 차례로 세상을 떠나면서 가세가 기울어 히구치는 18살 때인 1890년부터 어머니와 여동생을 돌보며 살아야했다. 당시 나츠는 선생인 나카지마의 집에 얹혀살면서 바느질과 세탁 등의 허드렛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이때 그녀는 소설 출판업에 종사하는 한 급우가 성공하는 것을 보고 생계 수단으로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했고 마침내 1891년 도쿄 아사히신문사 기자 겸 전속작가였던 나카라이 도스이(半井桃水)의 제자로 들어가 소설에 대한 가르침을 받는다. 이치요(一葉)라는 이름을 쓰게 된 것도 이 때부터 다음 해인 1892년, 스무살이 된 이치요는 도스이가 이끌고 있던 잡지 『무사시노(武蔵野)』에 소설 ‘야미자쿠라(闇桜)’를 싣고 이어서 `하기노야`의 선배 타나베 카호(田辺花圃)의 소개로 잡지 ‘미야코노하나(都の花)’에 ‘매목(埋木)]’ 연재되면서 주목을 받는다. 다음 해『문학계(文學界)』 제3호에 「눈 오는 날(雪の日)」을 연재하면서 호시노 덴치(星野天知), 히라타 도쿠보쿠(平田禿木), 바바 고쵸(馬場孤蝶), 토가와 쇼코츠(戶川秋骨) 등의 동인들을 만나고 그들을 통해 서구 문학에 눈뜨게 된다. 하지만 이 무렵 이치요는 생활고를 타개하기 위해 유곽 근처에 장난감과 잡화, 과자 등을 파는 구멍가게를 열었다. 그러나 다음 해 구멍가게마저 경영난으로 문을 닫고 만다.
23살이 되던 해인 1895년. 가난에 폐결핵까지 얻어 병마와 싸우게 된 이치요는 이 해 1월부터 약 1년 동안에 걸쳐 유곽 주변에 살았던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다케쿠라베(たけくらべ)’를 ‘문학계’에 연재했을 뿐만 아
참고 자료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의 「키대보기(たけくらべ)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탁한 강(にごりえ)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의 일기
모리 오오가이 (森鷗外)의 「무희」
시마자키 토오송(島崎藤村)의 「파계(破戒)」
www.goo.ne.jp
타야마 카타이(田山花袋)의 「이불(蒲団)」
시마자키 토오송(島崎藤村)의 「봄(春)」
모리 오오가이의 『청년(青年)』에 대하여
모리 오오가이(森鴎外)의 「기러기(雁)」
나츠메 소오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나츠메 소오세키의 「꿈 열흘 밤(夢十夜)」
나츠메 소오세키(夏目漱石)의 「도련님(坊ちゃん)」
나츠메 소오세키의 『고코로(こころ)』
타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의 「문신(刺青)」
타니자키 쥰이치로(谷崎潤一郞)의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시가 나오야(志賀直哉)의 「키노사키에서(城崎にて)」
시가나오야(志賀直哉)의 「암야행로(暗夜行路)」
시가 나오야(志賀直哉) 「잿빛 달(灰色の月)」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라쇼몽(羅生門)」
아쿠타가와 류우노스케(芥川竜之介)「덤불 속(藪の中)」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코(鼻)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의 「갑파(河童)」
라쇼몽, 양윤옥 옮김 / 좋은 생각
일본의 지성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고영자 지음 / 전남대학교 출판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河童 고찰, 김종화 지음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wikipedia.org 위키피디아 프리 백과사전
요코미츠 리이치(横光利一)의 「기계(機械)」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이즈의 무희伊豆の踊子」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의「설국(雪国)」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산소리(山の音)』
가와바타 야스나리 「센바즈루(千羽鶴)」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인간실격「人間失格」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사양(斜陽)」
미시마 유키오(三島由起夫)의 「금각사(金閣寺)」
미시마 유키오(三島由起夫)의 「가면의 고백(仮面の告白)」
아베 코오보오(安部公房)의 「모래의 여인(砂の女)」
오오에 켄자부로(大江健三郎)의 「사육(飼育)」
오오에 켄자부로(大江健三郎)의 「개인적인 체험(個人的な体験)」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의 「방랑기(放浪記)」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시가 나오야(志賀直哉)의 키노사키에서(城崎にて) 2페이지
-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의 「키대보기(たけくらべ) 」 2페이지
- [사회과학]일본근대문학 13페이지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작품선을 읽고 10페이지
- [일본문학] 모리오가이의 무희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