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행본
· 백영서 저, 『동아시아의 귀환 :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서울: 창작과 비평사, 2000)
· 백영서 外, 『주변에서 본 동아시아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4)
· 박상섭 저, 『자본주의 국가론 : 현대 마르크스주의의 정치이론의 전개』(파주: 한울, 1985)
· 버트란드 바디 外, 최장집, 정해구 역, 『국가 형성론의 역사』(부산: 열음사, 1987)
· 안드레 군더 프랑크 저, 최민 역, 『세계 경제의 분석』(서울 : 지양사, 1983)
· 와다 하루키 저, 이원덕 역,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 신지역주의 선언』(서울: 일조각,
· 이매뉴얼 월러스틴 저, 배손근 역, 『역사적 체제로서의 자본주의』(서울: 나남, 1986)
· 이매뉴얼 월러스틴 저, 백영경 역, 『유토피스틱스』(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8)
· 이매뉴얼 월러스틴 저, 나종일, 백영경 역, 『역사적 자본주의 / 자본주의 문명』(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3)
· 이매뉴얼월러스틴, 테렌스 K. 홉킨즈 外, 백승욱, 김영아 역, 『이행의 시대 : 세계체제의 궤적, 1945∼2025』(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9)
· 이성시 저, 『만들어진 고대 : 근대 국민국가의 동아시아 이야기』(서울: 삼인, 2001)
· 임지현 엮음, 『민족문제와 마르크스주의자들』(서울: 한겨례, 1988)
· 크리스토퍼 체이스던 外, 세계정치경제연구소 편역, 『자본주의 세계경제와 사회주의권의 실상』(서울: 들녘, 1991)
· 테리 보스웰, 크리스토퍼 체이스던 저, 이수훈, 이광근 역,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나선형』(파주: 한울, 2004)
· 한국서양사학회 엮음, 『근대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 브로델과 월러스틴을 중심으로』. (서울: 까치, 1996)
· 후자오량 저, 윤영도, 최은영 역, 『차이나 프로젝트』(서울: 휴머니스트. 2003)
· * 논문
· 권혁태, 「`고구려사 문제`와 일본의 동북아시아 인식」, 《황해문화》, 45, 2004
· 금희연, 전인영,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에 관한 연구」, 《세계지역연구논총》 제12집, 1997
· 금희연, 전인영, 「중국의 소수민족정책: 간부충원과 경제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중 연구》, 71, 1996
· 박병광,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형성과 전개」, 《국제정치논총》, 제 40집, 4호, 2000
· 박자영, 「상호주의를 넘어서 - 어떤 동아시아론인가」, 《황해문화》, 45, 2004
· 백영서, 「동아시아 평화 구축을 위한 역사 읽기: 몇 가지 제언」, 《황해문화》, 45, 2004
· 백원담, 「동북아 평화에 대한 문화적 상상과 역사문제」, 《황해문화》, 45, 2004
· 쑨꺼, 「어떻게 동북아의 `전후(戰後)`를 논할 것인가」, 《황해문화》, 45, 2004
· 에티엔 발리바르, 서관모 역, 「민족형태: 그 역사와 이데올로기」, 《이론》, 6, 1996
· 왕후이, 「과거로서의 미래의 재구축」, 《황해문화》, 45, 2004
· 이남주, 「중국 동북공정의 논리와 대응방향」, 《황해문화》, 45, 2004
· 채훈, 「한국과 중국 동북3성과의 투자협력방안」, 《국제상학》 9권, 2호, 1994
· 췌이즈 위안, 「미래지향적` 민족주의와 신국제주의」, 《황해문화》, 45,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