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구조주의를 정의하자면, “인간의 문화적 체계의 구조를 통해 의미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철학이론”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조주의란 문학 자체의 법칙성, 문학 자체의 문학성을 밝히는 데 주력하며, 다른 사조들이 갖고 있는 이념보다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가치중립적인 ‘문화과학’을 지향한다. 문학 작품에 있어서 단위, 규칙, 문법을 찾으려는 일련의 노력이 문학 연구의 객관성, 과학화의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구조주의 비평은 프랑스 문화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소쉬르의 〈일반언어학강의〉(1915)에서 제시한 구조언어학적 방법들과 분석 용어들을 신화, 친족관계 등의 연구에 가져와서 적용함으로써 1950~1960년대에 유행한 하나의 방법론이다. 이 구조주의는 기호학을 파악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데 기호학에 있어서 기호는 기의(기호의 내용-추상적 관념)와 기표(기호의 표현-의미를 운반하는 운반체)가 연합하여 만들어낸 새로운 요소이기에 내용의 형식, 혹은 기호의 내용의 조직을 헤아려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성서해석에 있어서의 구조주의 비평은 위의 소쉬르와 레비 스트로스의 구조주의 방법론에서 끌어낸 주석적 방법들을 성서해석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성경학자들은 성경의 문학적인 성격과 신학적인 의미를 밝혀내려 하였다. 예를 들면, 다니엘 패트는 마태복음을 구조주의 방법으로 주석함으로써, 마태의 신앙, 즉 마태복음이 자체 증거하는 신념체계를 설명 해내고자 했다. 이러한 신념들은 마태복음 속에서 식별 될 수 있는 대조적인 것들, - 즉 ‘새것과 옛것’, ‘말하는 것과 행함’의 대조에서....
· A. J. Greimas, Du Sens: Essais Semiotiques (Paris: Seuuil, 1970).
· D.W 포케마 외, 『현대문학이론의 조류』. 윤지관 역, (서울: 학민사, 1994)
· Thomas D. Hanks, Structuralism ed. David Noel Freedman, Anchor Bible Dictionary(NewYork : Doubleday, 1992)
· Terence J. Keegan, Interpreting the Bible - A Popular Introduction to Biblical Hermeneutics, (NewYork: Paulist Press, 1985)
· 스티브 헤이네스, 스티브 매켄지, 『성서 비평 방법론과 그 적용』, 김은규,김수남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 Patte, Daniel,『구조주의적 성서해석이란 무엇인가』. 이승식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
· Daniel Patte, 「구조주의 성서해석이란 무엇인가?」, 이승식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
· N. 패린/D. C. 덜링,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박익수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1)
· M. A. 포웰, 『서사비평이란 무엇인가?』, 이종록 역, (서울: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3)
· L. E. 브라운, 『신약개론』, 김근수, 이은순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3)
· S. 헤이네스,매켄지,「성서 비평 방법론과 그 적용」,김은규,김수남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 롤랑 바르트, 『현대비평의 혁명』, 김현 역, (서울: 홍성사, 1985),
· 강성렬, 오덕호, 정기철,『설교자를 위한 성서해석학 입문』,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2002),
· 김준오 외, 『구조주의』, (서울: 고려원, 1992)
· 김영길, 『루가복음 15, 1-31의 텍스트에 대한 기호학적 독서』, (대구: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 김춘기, "성서해석의 여러 가지 유형들", 『복음과 교육』.1998. 7, 8월호,
· 서인석, 『성서와 언어과학』,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5)
· 이선영,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서울: 동천사, 1985)
· 이동수, 『구약주석과 설교』.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 이형원, 『구약성서 비평학 입문』,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1991)
· 장일선, 『성서 구조 비평 연구: 히브리 설화를 중심으로』, (기독교사상 271호,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