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칼 바르트

1. 칼 바르트의 생애 ▶ 1886년 출생 ~스위스 바젤에서 1904 ~1911 : 신학수업 기간 --전도사 함(제네바) 초기: 베른(Bern), 후기 : 베를린에서 수업(궁켈, 하르낙의 수업을 들음) 튀빙겐에서 Schlatter(보수적)로부터 배움.(아버지가 보수적인 사람이어서 바르트에게 보수적 신학을 배우길 원해서 튀빙겐으로 권유, 바르트는 숨이 막혀 못 견디고.....) Marburg에서 공부한 후 졸업. →자유주의 신학자 헤르만을 만남(수업 시간마다 감격, 눈물까지 흘릴정도 심히) “증명되어 지는 신은 신이 아니다.”라는 명제←칸트영향(인간성, 자유성 배움) 1909년, 제네바 개혁교회 전도사. ▶ 1911 ~ 1921년, Safenwil에서 목사 (이시기는 1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이 때만 하더라도 그는 철저한 자유주의자였다.) * 1918~로마서 강해 완성, 1919년 출판, 제 1 판. * Tambach에서 『Der chtist in der Gesellschaft』(사회 속의 예수 그리스도) 라는 강연- 이 강연은 종교사회주의자들이 주최했었다. → 사람들에게 알려짐. * 1921년 쾨팅겐 대학 교수. ▶ 1921~30년, 괴팅겐, 뮌스터 교수 시절. * 괴팅겐 대학의 교수가 된 후 『Zwixchen den Zeiten』(시간들 사이에)라는 잡지발간 → 트루나이젠, 고가르텐과 같이 만듬, 이 잡지로 변증법적 신학자로 불려짐. *1925년 뮌스터 대학으로 옮김 ▶ 1930~35년, 히틀러와의 투쟁기( 초기, 히틀러 대항에 불붙인 사람이 바르트다) * 1930년 본 대학으로 교수자리 옮김 * 본격적으로 히틀러와 투쟁 위의 잡지는 중단되고, 『Theologische Existenz heute』(오늘의 신학적 실존) 이라는 잡지 발간 → 히틀러와 투쟁 * 1934, 5, 30~31 『Barmen 신학선언』발표됨.←고백교회 신학선언(칼바르트가 작성) Bohn 대학 교수직에서 해직당함. *자기 고향인 바젤로 돌아감. -이 시기, 히틀러의 강권정치 강해짐. cf) 이때부터 고백교회운동의 신학적 지도자로서 본회퍼가 등장하기 시작함 ▶ 1935~1962년, 바젤(Basel) 대학 교수 - 바르트 신학의 완숙기.『교회교의학』저술 1962년, 은퇴.
3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3.22 최종저작일 2007.01
39P 미리보기
칼 바르트
  • 미리보기

    소개

    1. 칼 바르트의 생애
    ▶ 1886년 출생 ~스위스 바젤에서
    1904 ~1911 : 신학수업 기간 --전도사 함(제네바)
    초기: 베른(Bern), 후기 : 베를린에서 수업(궁켈, 하르낙의 수업을 들음)
    튀빙겐에서 Schlatter(보수적)로부터 배움.(아버지가 보수적인 사람이어서 바르트에게 보수적 신학을 배우길 원해서 튀빙겐으로 권유, 바르트는
    숨이 막혀 못 견디고.....)
    Marburg에서 공부한 후 졸업. →자유주의 신학자 헤르만을 만남(수업
    시간마다 감격, 눈물까지 흘릴정도 심히)
    “증명되어 지는 신은 신이 아니다.”라는 명제←칸트영향(인간성, 자유성 배움)
    1909년, 제네바 개혁교회 전도사.

    ▶ 1911 ~ 1921년, Safenwil에서 목사 (이시기는 1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이 때만
    하더라도 그는 철저한 자유주의자였다.)
    * 1918~로마서 강해 완성, 1919년 출판, 제 1 판.
    * Tambach에서 『Der chtist in der Gesellschaft』(사회 속의 예수 그리스도)
    라는 강연- 이 강연은 종교사회주의자들이 주최했었다.
    → 사람들에게 알려짐.
    * 1921년 쾨팅겐 대학 교수.
    ▶ 1921~30년, 괴팅겐, 뮌스터 교수 시절.
    * 괴팅겐 대학의 교수가 된 후 『Zwixchen den Zeiten』(시간들 사이에)라는
    잡지발간 → 트루나이젠, 고가르텐과 같이 만듬, 이 잡지로 변증법적 신학자로 불려짐.
    *1925년 뮌스터 대학으로 옮김

    ▶ 1930~35년, 히틀러와의 투쟁기( 초기, 히틀러 대항에 불붙인 사람이 바르트다)
    * 1930년 본 대학으로 교수자리 옮김
    * 본격적으로 히틀러와 투쟁 위의 잡지는 중단되고, 『Theologische Existenz
    heute』(오늘의 신학적 실존) 이라는 잡지 발간 → 히틀러와 투쟁
    * 1934, 5, 30~31 『Barmen 신학선언』발표됨.←고백교회 신학선언(칼바르트가 작성)
    Bohn 대학 교수직에서 해직당함.
    *자기 고향인 바젤로 돌아감. -이 시기, 히틀러의 강권정치 강해짐.
    cf) 이때부터 고백교회운동의 신학적 지도자로서 본회퍼가 등장하기 시작함
    ▶ 1935~1962년, 바젤(Basel) 대학 교수 - 바르트 신학의 완숙기.『교회교의학』저술
    1962년, 은퇴.

    목차

    칼 바르트 신학
    Ⅰ자유주의 신학과 신정통주의 신학
    1. 신학의 역사
    F. 자유주의 신학의 특징.
    ▦. 신 정통주의의 특징
    ▦ 신 정통주의가 한국에 왜곡되게 소개되어진 까닭

    Ⅱ. K. Barth의 생애와 중요한 사건.

    Ⅲ. 로마서 강해 제 1판 (1919)의 신학
    1. 자펜빌에서의 바르트
    2. 1914년 8월 제 1차 세계대전의 발발
    3. 로마서 강해 제 1 판의 신학

    Ⅳ. 로마서 강해 제2판(1922)의 神學
    1. 1판과 2판 사이에는 현격한 차이. :
    2. 세상 속에 존재하지 않는 하나님의 나라
    3. 위기와 심판의 신학
    4. 하나님의 존재와 행위의 불가해성

    Ⅴ. 바르멘 신학선언(1934)

    Ⅵ.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A. 성서관
    B. 신론
    C. 예정론
    D. 삼위일체론.
    Ⅵ 복음과 율법.
    1. 전통적인 복음. 율법의 이해
    2. 칼 바르트의 복음. 율법의 이해.

    Ⅶ. 교회와 국가.

    Ⅷ. 화해론( 4의 1권~ 4의 4권) : 가장 많은 분량할애. 심혈을 기울임.

    Ⅸ. 죄론.

    본문내용

    Ⅰ자유주의 신학과 신정통주의 신학

    1. 신학의 역사
    1) 16C 1517년, 종교개혁에서 발전 → 종교개혁 신학: 루터, 칼빈
    2) 17C → 정통주의 신학 : 종교개혁 신학의 후예임. 유사성을 가짐.
    정통주의라고 볼 수 있으나 구별(차이점)을 가지고 있음
    ▲ 기독교 교의학의 난제:
    A. 삼위일체 -칼빈과 세르베투스의 대결, 세르베투스는 몸통은 하나인데, 머리가 셋 달린
    신을 믿을 수 없다고 주장. 칼빈에 의해 사형(화형)당함
    칼빈도 삼위일체에 대해 납득할만한 설명 못하고 이성을 초월한 하나님의
    신비이므로 그러하다고 믿는 것이라고만 함.
    ♣ 칼빈비판학자:
    이것을 보면서 칼빈이 진정한 조직신학자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는 학자도 생김.
    (칼빈을 성서주의자의 카테고리를 못 벗어 난다고 신랄하게 비판)
    ♣칼빈 옹호주의자:
    칼빈은 성경앞에서 겸허한 사람이었다고 주장. 칼빈은 성경의 정신 앞에서
    겸손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고 함 →삼위일체 신비가 칼빈의 교리 중에서 미 해결 부분임.

    B. 예수 그리스도의 두본성 문제 : 한 본체 안에 어떻게 신성과 인성이 공존할 수 있는가?
    C. 하나님의 예정과 인간의 자유의지 : 두 사이의 역학관계가 애매 모호

    ▲ 예정론
    가. 칼빈 : 예정 믿음. 인간의 죄는 인간의 책임. 구원은 하나님의 전적 은혜다.
    왜 그러냐? 그건 인간의 이성을 초월한 하나님의 신비이므로 설명할 수 없다.
    성경에 나온대로 믿어라.
    나. T. Beza(calvin의 제자): 신정통주의 학자: 하나님의 예정이라는 관점에서 이 문제 해결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주로 결단하는 것은 인간 스스로 하는 것(제2 원인자) 같지만 하나님(제1 원인자)이 하신 것이다. →논리적이나 인간의 자유의지를 무시.
    성경과 멀어지게 됨. 합리성 강조. 성서적 특징 결여

    다 17c 신정통주의가 강조한 것
    ㄱ. 인간의 전적 타락: 머리부터 발끝까지 타락한 존재. 오직 은총으로만 구원받는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