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50대의 언어 사용
조사에 응한 50대 집단은 6.25 한국 전쟁 이후 태어나 어려운 생활을 하며 자라난 세대이다. 50대 집단은 부모나 형제, 자매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들의 부모는 일제지배 체제 시대를 살아 온 사람으로 그들에게 일본말을 의식적으로든지, 아니면 무의식적으로든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또한 그들이 한창 교육을 받을 시기에는 교과서에 한자가 많이 쓰였었기 때문에 한자를 다른 세대 집단에 비해서 많이 알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자녀 세대에 의해서 신세대 언어를 어느 정도는 알 것으로 예상하고 조사를 시작했다.
이들 집단의 어휘 사용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자말의 사용>
견습(見習), 대절(貸切), 수속(手續), 일시불(一時拂), 차압(差押), 할인(割引), 하중(荷重)
<일본말의 사용>
스메끼리(손톱깎이), 다마네기(양파), 가꾸목(각목), 가나모노(철물), 히야시하다(차게 하다), 구슬(다마), 나라시(고르기), 노미(끌), 간쓰메(통조림), 다대기(다진 양념), 사라(접시), 시보리(물수건), 가다(어깨), 미싱(재봉틀), 시다(보조원), 우라(안감), 하사미(가위), 꼬붕(부하), 쓰리(소매치기), 야매(뒷거래), 자부로(방석), 곤로(풍로), 입빠이(가득), 가이당(계단), 겐바(현장), 노꼬(톱), 돔부리(덮밥), 모찌(떡), 사시미(생선회), 노미(끌), 덴죠오(천장), 야끼(구이), 나오시(고침질), 도끼다시(갈아내기), 앗사리(산뜻함), 도이(홈통), 센방(선반), 와르바시(나무젓가락), 하리핀(꽂이바늘), 스나(모래), 스미(먹긋기), 요지(이쑤시개), 아나고(붕장어), 시아게(마무리), 고시(허리), 시마(줄무늬), 가라(거짓), 곤색(감색), 뿜빠이(분배), 단스(서랍장)
<비속어, 욕설의 사용>
넨장, 니미럴, 시팔, 씨부랄, 제기, 젠장맞을, 급살, 지랄, 얼어 죽을, 눈깔, 마빡
<영어 ․ 신조어 ․은어의 사용>
hi, thank you, ok, please, chocolate, Jesus, good, 얼짱, 몸짱, 공주병, 왕따
몇 가지 질문을 하였는데, 일본말을 아는가에 대한 답변은 계속해서 쉬지 않고 이어졌는데 비해서 영어나 신조어의 경우에는 답변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러한 모습은 이 집단의 생활방식이나 자라온 배경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부모나 형제, 자매 세대의 영향인 일본말에 아주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자녀 세대를 통한 신조어나 은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기억할 수 있었던 것들은 사회적으로 아
· 리의도(1989.8), <우리말 속의 왜말들>. 한글 새소식 204, 4쪽.
· 김윤학(1986.7-9), <올바른 말글살이를 위하여(1-3)>, 한글새소식 167-169. 한글학회.
· 한갑수(1968), 바른말 고운말, 용갑사.
· 박갑수(1984), 국어의 표현과 순화론, 지학사.
· 정관호(1991), <일본말 찌꺼기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오현 외(2001), 「컴퓨터 통신언어 사전」, 서울:역락.
· 구현정(2002), “통신언어-언어 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국어학> 제 39집, 서울: 국어학회.
· 김동언(1996), 국어비속어 사전 편찬에 대한 연구, 인문과학논집(강남대) 2.
· 고길섶(1995), `우리 시대의 언어게임`. 토담.
· 김민수(1953). `隱語(변말)-특히거짓말(乞人語)을 중심으로 하여`, `국어국문학통권 6호. 국어국문학회
· 김해성(1977), `한국대학생의 은어조사-남녀대학생 1270명 응답 자료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제76호, 국어국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