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과 더불어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저 출산 등의 영향으로 노인인구의 상대적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2000년 들어 노인인구는 7.2%를 넘어서서 본격적으로 고령화 사회 UN의 기준은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면 고령화사회, 14%면 고령사회로 본다.
에 들어섰다. 계속적인 노인인구의 증가는 2010년에는 9.9%, 2019년에는 14%가 넘어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전망이다(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2001).
그러나 노인인구의 0.3%만이 시설에서 보호를 받고 있으며, 나머지 99.7%는 일반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다(보건복지부, 1999) 이들 가운데 요보호 노인(와상노인, 중풍노인, 치매노인), 장애노인 등의 수발 및 보호는 더 이상 가족에 의해서 전적으로 충족되기는 점차 어렵게 되어가고 있다.
특히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단독세대의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에 따른 맞벌이 부부의 증가, 그리고 부양가족의 질병, 출장 등으로 인하여 전통적 가족 부양체계는 점차 허물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과 가족부양체계의 변화로 재가노인 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의 심신의 건강유지 및 생활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노인의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노인 복지법이 1989년에 제정되어, 각종 노인복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1987 한국노인복지사회에서 거택보호노인을 대상으로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을 시범적으로 도입하였으며, 1993년에 노인복지법 개정을 통하여 재가노인복지사업을 법정(法定)사업으로 규정함으로써 제도화되었다. 또한 제 7차 5개년 계획(1992~1996년)에 따라 정부의 노인복지정책의 기본 방향이 기존의 시설복지사업 중심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확충으로 전환되었으며, 1997년의 노인복지법 개정을 통하여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가정봉사원양성교육훈련사업, 주간보호사업, 단기보호사업으로 확대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정책 중에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도출하여 개선책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발전과제에 대하여도 정책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 국내문헌
· 고양곤, “노인 주간보호의 이론과 실제 ”, 홍익제, 1997
· 김범수, <재가복지론>, 홍익제, 1992
· 김미정, “재가복지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1996
· 김만두, 윤정유 역, <최근 일본의 사회복지 동향>, 홍익제, 1992
· 김성희, 오정수, 전광현, 황성철, <비교지역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관협회, 1997
· 김익균, <한국지역사회복지론>, 장애인복지와 재활, 1997
· 박꽃샘, “지역사회복지관의 노인복지프로그램 연구 -노인주간보호를 중심 으로”, 1994
· 박재간외,“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도전”,나남출판,1995.
·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재가노인복지연구”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2001
·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02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01
· 신변중, <한국지역사회복지론>, 대학출판사, 1997
· 유성희,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 서비스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1996
· 윤동성외, “가정봉사원 활동과 실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1999
· 윤동성외, “사회복지학”, 양서원, 2000.
· 이가옥(편저), “노인복지의 현황과 과제”, 나남출판,1999
· 이인수, “현대노인복지론”, 양서원, 1999
· 이혜원,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1999
· 이혜영, “케어 복지론”, 양서원, 2000
· 재가노인복지협의회,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의 현황과 바람직한 프로그램 모색>, 1994
· 전광현, “일본의 재가복지 사업의 현황과 과제”, 1995
· 전경희외,“전국노인생활실태및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 장인협, <지방화시대 지역복지실천방법론>, 한국사회복지관협회, 1995
· 최일섭,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최일섭, 유진석,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 최혜경외, “노인과 실버산업”, 동인,2001
· 한국노인복지회, “ 현대재가복지사업”, 홍익제, 1999
· 한국노인복지회, “노인복지의 현황과 과제”, 홍익제, 1999
· 한국재가복지협회, “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한국재가복지협회, 1999.
· 한국재가노인협회, “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운영과 실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1997
·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8
·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우리나라 재가복지의 현황과 과제”, 1995
· 현외성외, “ 한국노인복지학강론” 유풍출판사, 1998
· 황경성외, “ 일본의 고령자 보건복지”, 학지사, 2001
· 허정무,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협신사, 2000
· □ 국외문헌
· N.Gilbert & P.Terrell ,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998
· ESCAP, Plan of Action on Ageing for Asia and Pacific, 1998
· Huttman, E.,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New York, 1985.
· Kadushin, A., Homemaker Service Child Welfare Service ( Mac Millan Publish Co. New York,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