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원서
· A. S. Kapelrud, 「The Role of the Cult in Israel」 The Bible in Modern Scholaship (J. P. Hyatt, ed),
· Easton`s Bible Dictionary. M. G. Easton. "Josiah".
· J. B. Segal, "The Hebrew Passover: From the Earlest Times to AD. 70."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 M. Haran,「Temples and Temple-Service In Ancient Israel」, Oxford: The Clarendon Press, 1978.
· Robert Althann. ‘Studies in Northwest Semitic’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2000; Vol 59.
· T. R. Hobbs, 「WB.C. 2King」, Dallas,Texas, Word Books Publisher, 1998; CD.
·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ISBE), "Josiah", T. W. Davies, Geoffrey W. Bromoley et al.(eds.), Grand Rapids: W. B. Eerdmans Publishing Co., 1979-1988.
· 2. 번역서
· David F. Hinson, 「이스라엘의 역사」, 이후정 옮김. 서울: 컨콜디아사, 1983.
· David M. Howard Jr. 「구약 역사서 개론」, 류근상 옮김. 서울: 크리스챤 출판사, 2001.
· F. F. Bruce,「구약사: 이스라엘의 역사」, 유행열 옮김. 서울: 기독문서선교회, 1981.
· H. J. Gunneweg. 「이스라엘 역사」, 문희석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7.
· J. Maxwell MillerㆍJon H. Hayes , 「고대 이스라엘 역사」, 박문재 옮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8.
· John, Bright,「이스라엘의 역사」, 박문재 옮김.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0.
· ----------, 「하나님의 나라」, 김의원 옮김.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1.
· Leon. J. Wood, 「이스라엘의 역사」김의원 옮김.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8.
· Norman. K Gottwald,「히브리성서 2」, 김상기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1.
· R. de Vaux, 「구약시대의 사회풍습」, 이양구 옮김.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2001.
· S. Hermann,「이스라엘 역사」, 방석종 옮김. 서울: 나단출판사, 1989.
· William S. 라솔 외, 「구약개관」, 박철현 옮김.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1.
· W. Zimmeli, 「구약신학」, 김정준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 3. 주석
· C. F, Keil and F. Delitzsch, 「카일ㆍ델리취 성경주석 열왕기 상ㆍ하」,박수암 옮김. 서울: 기독교문화사, 1987.
· Duane L. Christensen, 「신명기 상」정일오 옮김. 서울: 솔로몬, 2003.
· James Wolfendale. 「베이커 성경주석 역대상ㆍ하」, 박양조 옮김. 서울: 기독교문사, 1991.
· J. A. Thompson, 「반즈 성경주석 예레미야 상」최우성 옮김. 서울: 크리스챤 서적, 1995.
· John Gray, 「국제성서주석 열왕기 하」, 김진호, 최형묵 옮김. 대전: 한국신학연구소, 1992.
· Raymond B. Dillard.「W.B.C. 주석 역대하」, 정일오 옮김. 서울: 솔로몬, 2005.
· Richard Nelson,「현대성서주석 왕상․하」, 김회권 옮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 Tomas Constable, 「열왕기상․하」, 문동학, 이명준 옮김. 서울: 두란노, 1999.
· 박윤선, 「박윤선 성경주석 사무엘ㆍ열왕기ㆍ역대기」 서울: 영음사, 1996.
· 4. 국내서적
· 김의원,「구약역사」, 서울: 개혁주의신행협의회, 2003
· 정중호, 「이스라엘 종교와 성전」,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5.
· 최종진,「이스라엘의 종교」, 서울: 소망사, 2000.
· 5. 학위논문
· 김무량, “앗시리아 제국의 정책과 유다 종교개혁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학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2.
· 김은호, “유다왕국의 산당파괴에 대한 역사적 연구,” 신학박사 학위논문, 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4.
· 김철수, “요시야의 종교개혁에 관한 의의” 신학석사 학위논문, 순복음신학대학원, 1998.
· 김학준, “예레미야 생애 연구.” 신학석사 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원, 1998.
· 박선진, “신명기에 나타난 제의 중화와 공식의 특성과 역사적 변천,” 신학박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 박선원, “열왕기하와 역대하에 나타난 요시야의 종교개혁” 신학석사 학위논문, 계명대 연합신학대학원, 2006.
· 박신배, “신명기 역사에 나타난 히스기야 개혁의 전승사적 연구”, 신학박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 손세훈, “제의 중앙 집중화에 관한 연구: 신명기 사가의 역사서를 중심으로”, 신학석사 학위논문호서대 신학대학원, 1991.
· 이희학, “요시야 개혁과 제의의 중앙성소화 문제에 대한 연구”, 신학석사 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1986.
· 임종필, “제의 중앙화를 위한 이스라엘의 개혁”, 신학석사 학위논문, 계약신학대학원, 2003.
· 전전일, “요시야 종교개혁에 관한 연구,” 신학석사 학위논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 한규언, “유월절에 관한 연구”, 신학석사 학위논문, 연세대대학원, 199,
· 홍성민, “요시야의 산당파괴에 관한 연구 : 해석학적 사고의 전환”, 신학석사 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 6. 잡지
· 최용호, “구약에서 본 유월절과 성만찬에 관한 연구” 「연구논문집」 제 5집 (1995, 12)
· 한동구, “신명기 개혁운동에 나타난 종교개혁,” 「기독교사상」433(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