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호진, “정치제도 개혁의 방향”, 「담론21」, ‘98년 겨울호’(1998)
· 2. 김태우, “정당국가에서 국민대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 3. 김대하, “한국정당의 발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 4. 김정훈, “정당의 기원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 5. 조일문, 「새정치학」, 삼화출판사, 1971
· 6. 김태우, “정당국가에서 국민대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2001
· 7. 차명제, “독일 정당 제도”, 권세기, 서준원, 전복회, 차명제 공저, 「독일의 대의제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세계문화사, 1999
· 8. 김중권, “현대헌법과 정당”.「민법과 법학의 중요문제」, 동국대학교출판사, 1988, p724.
· 9. 독일정당법 참조.
· 10. 어수영역, 「헌대정당론」, 동녘, 1995,
· 11. 한국정치학회, 「민주주의론」, 법문사, 1971
· 12. 이극찬, 「정치학」, 법문사, 1991
· 13. 김현태, “한국정당법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7
· 14. 신명순, “한국정당의 기능수행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제20집, 1989
· 15. 백상건, 「정치학」,박영사, 1970, p.329~333. ; 정요섭, “현대정당의 기능과 역기능”, 「정경연구」제25호, 1967
· 16. 김대하, “한국정당의 발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4
· 17. 김백유, 「헌법I」, 카피랜드, 2002
· 18. 헌법에 정당에 관한 사항을 명기한 국가에 대하여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외국정당의 당헌․당규집(I)」, 서울정화인쇄주식회사, 1992
· 19. 권영성, 「비교헌법학」, 법문사, 1994
· 20. 구국회의원선거법하에서 정당추천후보자와 무소속후보자간의 선거운동의 기회균등관련 위헌결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992. 3. 13. 헌법재판소결정 92헌마 37․39(병합)를 참조.
· 21. 강경근, “국민주권과 정당정치”, 「법정고시」통권23호(1997. 8.)
· 22. 정만희, “정당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동아논총」, 제19집(1982)
· 23. 임채정, “정당제도 개혁안”,「담론21」, ‘98년 겨울호(1998)
· 24. 국회의원선거법(1963. 1. 16. 법률 제1256호) 제24조 참조.
· 25. 권영성, 「헌법학」, 법문사, 1996
· 26. 김현태, “정당보조금제의 법적․정치적 타당성”, 선거관리 제41호(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5
· 27. 김현태, “한국정당법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7
· 28. 김백유, 「헌법I」,카피랜드, 2002
· 29.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박영사, 1997
· 30. 김철수, 「헌법학개론」,박영사, 1996
· 31. 정치자금에관한법률 제17조 및 18조 참조.
· 3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2.
· 33. 신명순, 「한국정치론」, 법문사, 1994.
· 34. 정용대, “한국의 정당정치와 지역주의 극복방안”, 「여의도정책논단」, 1996년 가을호
· 35. 김현태, “한국정당법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7
· 37. 윤정석․신명순․심지연 편저, 「한국정당정치론」, 법문사, 1996
· 38. 이현출, “한국정당의 당내민주주의”, 건국대학교대학원, 1997
· 39. 한홍수, 황주홍 편역, 「현대정치와 국가」, 연세대출판부, 1992
· 40. 김영래, 「한국이익집단과 민주정치발전」, 대왕사, 1990
· 41. 김창수, “한국정당의 민주화 방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4
· 42. 길승흠, “신한국 정치개혁과 기본방향”, 한림대한림과학원 편, 「신한국건설을 위한 정책 토론회 발표논문집」,1993
· 43. 김대하, “한국정당의 발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 1994
· 44. 차기벽, 「근대화 정치론」, 박영사, 1969
· 45. 송복, “정치자금의 특성과 개선방향”, 「한국의 민주화와 선거문화」, 현대사회연구소, 1989
· 46. 김대하, “한국정당의 발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4
· 47. 장우영, “한국정당체제의 기원”, 건국대학교대학원, 1998
· 48. 김창수, “한국정당의 민주화 방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4.
· 49. 김대하, “한국정당의 발전에 과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1994